커리어넷 직업분류 : 과학분야(전문직)

환경컨설턴트

평균연봉 : 4015↑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매우좋음 고용평등 : 보통미만

핵심능력

수리논리력, 대인관계능력, 자연친화력

유사직업명

환경대리인, 환경오염방지전문가, 환경대리인, 환경오염방지전문가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화학공학과 , 화학과 , 환경공학과 , 환경과학과
관련자격
대기환경기사, 수질환경기사, 산업위생관리기사, 소음진동기사, 폐기물처리산업기사, 폐기물처리기사, 폐기물처리기술사, 환경기능사, 토양환경기술사, 자연환경관리기술사,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하는일

환경컨설턴트는 기업이나 공공조직이 가지고 있는 환경관리상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일을 한다.

신도시개발 사업 등 여러 형태의 개발 행위가 자연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측정평가하여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이 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한다.

기업이나 공공조직의 환경관리 상태를 진단하고 체계적인 환경관리를 위한 조직의 방침 및 장기계획을 수립하며, 그것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들에 대해 조직원들에게 교육한다.

기업체들의 환경산업 즉, 공해방지산업 진출에 대한 타당성을 조사한다.

적성 및 흥미

화학 및 생물 등 환경 공학과 관련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환경 문제의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창의적이고 논리적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해결능력이 요구된다.

통계 및 수학계산을 신속·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수리능력과 다양한 사람들과 접하며 원활하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사교성과 유연한 의사소통능력이 필요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과학분야(전문직)
표준직업분류 2371환경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고용직업분류 1553환경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관련자료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공채나 특채를 통해 환경 보전 관련 사업체나 환경컨설팅회사 등에 채용될 수 있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환경컨설턴트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환경문제는 오늘날 정부의 정책 및 기업경영전략 수립에서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대상이다. 특히 국내외 다양한 환경관련 규제 및 협약ㆍ제도의 출현으로 환경문제는 기업의 생존과 직결되고 있다. 환경 규제에 부합하지 않으면 수출도 어렵고 친환경적이지 않은 상품은 시장에서 판매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환경속에서 컨설팅업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환경부에 등록된 컨설팅업체는 2016년 4월 현재 153개로 2012년 118개, 2014년 132개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단, 환경부 등록은 강제사항이 아니어서 그 수는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국내외 걸쳐 환경 이슈 및 규제, 법, 제도의 변화에 대한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대응이 요구되어 이들의 수요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기후변화, 신재생에너지, 화학물질 안전 관리, 물산업, 토양 및 지하수, 탄소배출권 등 컨설팅 영역도 다양해지고 있어 향후 이들의 역할은 더욱 커질 것이다. 그럼에도 국내 환경컨설팅 분야의 시장 수요가 크지 않고 환경영향평가사 등 다른 전문직과 경쟁해야 하는 등 규모확대에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환경컨설턴트의 임금수준은 하위(25%) 3000만원, 평균(50%) 4015만원, 상위(25%) 4850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환경컨설턴트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교의 환경공학 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것이 유리하다.

  • 관련 자격증

    관련 국가자격증으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자연환경관리기술사, 수질관리기술사, 대기관리기술사, 토양환경기술사, 폐기물처리기사 및 기술사, 환경기능사 등이 있다.

문의기관

국립환경과학원 http://www.nier.go.kr
한국환경기술인협회 http://www.keef.or.kr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http://www.eia.or.kr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http://www.kei.re.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