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과학분야(전문직)

환경위생검사원

평균연봉 : 3875↑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매우좋음 고용평등 : 좋음

유사직업명

산업위생기사, 작업환경측정기사, 산업위생관리자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보건환경과 , 환경공학과 , 환경과학과 , 환경보건학과 , 환경시스템과
관련자격
위생사, 대기환경산업기사, 대기환경기사, 대기관리기술사,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산업위생관리기사, 산업위생관리기술사

하는일

환경위생검사원은 음식점, 산업체, 호텔 및 기타 작업장 환경을 조사하고 점검하여, 작업장의 위생ㆍ공해관리ㆍ위험물처리가 정부규정에 따라 잘 운영되고 있는지 감독한다.

음식점이나 식품가공업체 등의 위생관리 상태를 조사ㆍ점검하고, 전염병 예방을 위한 공중보건 및 위생관리에 대한 교육 및 지도를 한다.

분진, 소음, 진동측정기 등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사업장 내의 유해물질의 유출이나 대기ㆍ수질오염상태를 확인하고, 제반 문제들의 개선상태에 대해 감독한다.

위생ㆍ공해관리ㆍ위험물처리의 정부규정을 위반한 사업장에 대해서는 벌금이나 영업정지처분 등을 집행한다.

적성 및 흥미

화학 및 생물 등 환경 공학과 관련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환경 오염검사 결과를 왜곡 없이 객관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도덕성과 직업윤리의식이 요구된다.

현장을 직접 찾아다니면서 환경오염 등을 검사해야 하므로 신체적으로 건강해야 한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과학분야(전문직)
표준직업분류 2365보건 위생 및 환경 검사원
고용직업분류 1555보건위생·환경 검사원

관련자료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공채나 특채를 통해 공해방지시설이 필요한 기업체의 환경전담부서, 방위산업체, 보건연구소, 방재시설업체, 환경용역업체, 폐기물처리업체, 오·폐수 배출업체 등에 채용될 수 있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환경위생검사원과 관련 직업인 보건위생 및 환경검사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화의 진전으로 각종 환경오염과 전염병이 증가하고 있어 일상생활에서뿐만 아니라 사업장에서도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고령화에 따른 근로자의 연령층이 증가하고 국민 개개인의 건강에 대한 인식의 증가로 보건위생 및 환경문제를 조기에 방지하기 위하여 각종 예방조치를 강화하고 관련 법을 강화하는 등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기업은 지속적인 노력을 경주할 것으로 보인다. 보건위생 및 환경검사원은 사업체를 대상으로 보건위생과 환경 등 법적 기준을 준수하는지를 점검, 지도하고 교육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따라서 이들의 일자리는 대상 사업체 수의 증가에 따라 결정되나 이들은 주로 중앙정부 및 지자체 공무원으로 활동하고 있어 대규모의 일자리 증가는 쉽지 않다. 이들은 공무원 조직에서 식품위생(식품위생팀, 공중위생팀, 위생지도팀 등로구성), 환경(환경관리팀) 등의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채용 규모는 매년 100여명 이내로 소규모이다. 식품위생직의 경우 2015년 52명(경력직 21명)이 채용되었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환경위생검사원과 관련 직업인 보건위생 및 환경검사원의 임금수준은 하위(25%) 3291만원, 평균(50%) 3875.075만원, 상위(25%) 5403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환경위생검사원이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이나 대학교의 환경공학 관련 학과를 졸업해야 한다.

  • 관련 자격증

    관련 국가자격증으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산업위생관리기사 및 기술사,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대기관리기술사, 대기환경기사 및 산업기사가 있다.

문의기관

전국기업체산업보건협의회 http://kisanhyup.com
한국산업인력공단 http://www.hrdkorea.or.kr
한국산업보건학회 http://www.kiha.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