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미래사회의 직업 본문

직업세계의 이해

직업을 구분하는 기준

직업은 실제로 하는 일의 성격과 종사자어떤일을 직업으로서 하는 사람 수를 기준으로 일자리를 나누어요.

직업세계 이해
먼저, 직업을 구분하는 기준을 알아볼까요?

국가별로 직업을 분류하는 내용이 약간씩 다른데, 세계적인 기준은
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국제노동기구(ILO)’에서 만들어요.
우리나라의 표준은 세계 기준을 바탕으로 우리 상황에 맞도록 통계청에서 다시 나누고 있어요.

아래 카드를 클릭하여, 직업을 구분하는 대표적인 사례를 확인해보세요.

- 자료: 한국표준직업분류, 통계청(2017)

우리나라 직업 개수의 변화

세부적인 직업 수는 ‘한국직업사전’을 바탕으로 하는데, 분류 기준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고 있어요.

2003년에는 이전과 다르게 직무직업으로 맡은 일의 범위를 크게 잡아 직업의 개수가 줄어 들었지만 이후 다시 늘어나고 있어요.

직업세계 이해
그럼, 우리나라 직업의 개수는 어떻게 변해왔을까요?
1969년 3,260개 / 1986년 10,600개 / 1995년 12,000개 / 2003년 9,426개 / 2012년 11,655개 / 2016년 15,715개

- 자료: 한국표준직업분류, 통계청(2017)

다른 나라의 직업 개수

산업이 발전하고 나라의 규모가 커질수록 직업의 수도 많아진다고 해요.

직업세계 이해
또, 다른 나라의 직업 개수는 얼마나 될까요?
  • 한국
    15,715개
    한국 국기

    한국직업사전직업목록 한국고용정보원(2016)

  • 일본
    16,433개
    일본 국기

    직업명색인 일본후생노동성(2011)

  • 미국
    30,645개
    미국 국기

    USA CENSUS, OCCUPATIONAL LIST(2010)

우리나라 일자리 변화

우리나라 산업별 일자리 변화

지난 50년간 우리나라의 산업별 일자리를 보면 농립, 어업 (1차 산업) 종사자는 크게 줄고, 제조업(2차 산업)과 특히 서비스업 (3차 산업) 종사자 비율은 크게 늘었어요.
그리고 이런 현상은 앞으로도 계속될 거예요.

우리나라 일자리 변화
우리나라의 산업별 일자리 변화
2016년 1차산업: 4.9%, 2차산업: 17.2%, 3차산업: 77.9% / 2012년 1차산업: 6.2%, 2차산업: 16.7%, 3차산업: 77.1% / 2008년 1차산업: 6.2%, 2차산업: 16.9%, 3차산업: 75.9% / 2004년 1차산업: 8.1%, 2차산업: 16.9%, 3차산업: 73.3% / 2000년 1차산업: 10.6%, 2차산업: 20.4%, 3차산업: 69% / 1996년 1차산업: 11.1%, 2차산업: 22.8%, 3차산업: 66.1% / 1992년 1차산업: 14%, 2차산업: 26.5%, 3차산업: 59.5% / 1988년 1차산업: 20.6%, 2차산업: 28.5%, 3차산업: 50.9% / 1984년 1차산업: 27.1%, 2차산업: 24.2%, 3차산업: 48.7% / 1980년 1차산업: 34%, 2차산업: 22.5%, 3차산업: 43.5% / 1976년 1차산업: 44.4%, 2차산업: 21.8%, 3차산업: 33.8% / 1972년 1차산업: 50.5%, 2차산업: 14.1%, 3차산업: 35.4% / 1968년 1차산업: 52.4%, 2차산업: 13.9%, 3차산업: 33.7% / 1964년 1차산업: 61.7%, 2차산업: 8.9%, 3차산업: 29.5% / 1963년 1차산업: 63%, 2차산업: 8.7%, 3차산업: 28.3%

- 자료: 경제활동인구조사(http://kosis.kr), 통계청(1963-2016)

우리나라 시대별 일자리 변화

우리나라의 대표 직업은 어떻게 변화해왔을까요?

과거부터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산업발전에 따라 직업 특성은 꾸준히 변화하고 있어요. 그리고 시대를 대표하는 직업도 그런 특징에 따라서 달라지고 있어요.

우리나라 일자리 변화
우리나라의 시대별 일자리 변화
  • 농어민 시대 1950년대
    농어민 시대

    농민, 어민, 물장수, 얼음장수, 전차운전사, 은행원, 교사, 전화교환수, 군인, 경찰, 단순노무자, 간호사, 숯쟁이, 굴뚝청소원, 라디오 조립원 등

  • 기능공, 공장노동자 시대 1960년대
    기능공, 공장노동자 시대

    전기전자기술자, 섬유기능공, 신발기능공, 사무직종사자, 스튜어디스, 은행원, 공무원, 탤런트, TV조립원 등

  • 건설노동자, 은행원 시대 1970년대
    건설노동자, 은행원 시대

    공작기계제조원, 건설현장노동자, 대기업직원, 금융권 종사자,
    중장비엔지니어, 버스안내양 등

  • 화이트칼라, 유통업 시대 1980년대
    화이트칼라사무직으로 일하는 회사원등을 가리키는 말, 유통업 시대

    컴퓨터 관련직업, 반도체 기술자, 광고관련 직업, 프로듀서,
    증권사직원, 속기사, 운동선수 등

  • 전문직종 시대 1990년대
    전문직종 시대

    금융전문가, 웹마스터, 웹디자이너, 인터넷방송기획자,
    전자상거래전문가, 벤처기업가 등

  • 디지털, 글로벌 전문가 시대 2000년대
    디지털, 글로벌 전문가 시대

    금융전문가, 통신네트워크 전문가, 국제공인회계사,
    국제회의전문가, 유전자감식전문가, 환경전문가, 사회복지사 등

- 자료 : 한국 직업변천사의 시대별 특성 비교분석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경영사학회 52권 PP.79-109 수정), 이종구, 조은상, 김홍유(2009)

미래 변화 예상하기

미래의 모습을 예상하면,
앞으로 내가 무엇을 해야 할지
생각하는 데 도움이 돼요.

미래변화 예상하기
변화하는 미래의 모습을 예상하면 지금 내가 무엇을 해야 할지, 앞으로 내가 무엇을 해야 할지 생각하는 데 도움이 돼요.

다양한 연구에서 나타나고 있는 미래사회의 변화는 다음과 같아요.

위의 그림을 클릭하면 더욱 더 자세히 내용을 알 수 있어요!

미래직업 세계준비

변화하는 미래사회 대비

여러분은 인공지능과 로봇이
직업세계에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미래사회에 대비해야 해요.

미래 직업세계 준비
변화하는 미래사회 대비

미국의 일자리를 분석한 옥스퍼드 연구원들에 따르면 앞으로 20년 내에 현재 존재하는 일자리의 47%가 컴퓨터로 대체된다고 하는데요.

이러한 움직임에 맞춰 여러분은 인공지능, 로봇,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생명공학 등 직업세계의 변화를 이끄는 분야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어요.

기계나 기술에 비하여 인간이 앞설 수 있는 독창적인 능력을 기르는 것도 매우 중요하겠죠?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7가지 능력

미래 직업세계 준비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7가지 능력

미국의 경제잡지 ‘포춘’의 편집장인 콜빈은 인공지능이나 로봇에 비하여 인간이 더 나은 7가지 능력을 제시했습니다.
여러분들은 미래를 준비하기 위하여 이러한 능력을 갖출 필요가 있습니다.

  • 공감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감정, 생각에 대하여 자신도 함께하는 능력

  • 창의성

    새롭고 독창적이고 유용한 것을 만들어 내는 능력

  • 사회적 민감성

    사회에서 나타나는 문제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자신의 일처럼 생각하는 능력

  • 스토리텔링

    상대방에게 알리고자 하는 바를 재미있고 생생한
    이야기로 만들어 설득력 있게 전달하는 능력

  • 유머

    재치 있는 말과 행동으로 다른 사람들의
    관심과 흥미를 이끌어내는 능력

  • 관계맺기

    홀로 있지 않고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고
    함께할 수 있는 능력

  • 지도력

    목표를 정하고 그 방향으로 조직이나
    다른 사람을 이끄는 능력

- 자료 : 인간은 과소평가되었다. 제프 콜빈(2016)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