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전산/정보통신분야

통신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평균연봉 : 3753↑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매우좋음 고용평등 : 보통미만

핵심능력

공간시각능력, 수리논리력

유사직업명

광통신연구원, 선로설비설계원, 통신기기개발자, 이동통신기술연구원, 영상통신연구원, 디지털교환설비 연구원, 휴대전화회로 개발원, 무선전화기 개발원, 모뎀개발 설계기술자, 디지털수신기 개발원, 인공위성TV수신기 개발?설계 기술자, 인터폰 및 전화기 개발자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전기공학과 , 전기전자공학과 , 전기제어공학과 , 전자공학과 , 정보통신공학과 , 정보통신과
관련자격
정보통신산업기사, 정보통신기사, 통신설비기능장, 정보통신기술사, 전파전자통신산업기사, 전파전자통신기사, 방송통신산업기사, 방송통신기사

하는일

통신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은 물리학, 수학 및 컴퓨터의 구조와 원리에 대한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통신 장비의 설계, 생산 업무를 관리감독한다.

종합적인 통신망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망을 기획,연구하고 설계하며, 세부적인 시설에 대한 계획을 수립한다.

전화기, 교환기, 전송기, 단말기, 송수신기 등 각종 통신장비를 연구,개발, 설계하고, 이들의 설치, 유지, 보수 활동을 계획, 감독한다.

단파방송 서비스 현황 및 수신상태를 분석하고 주파수를 선별하며 송출시스템 송신장비 운용사항을 검토하고, 방송시설을 설계한다.

무선통신에 관한 공학기초지식을 바탕으로 이동전화, PCS, 레이다설비, 방향탐지기, 팩시밀리, 공동시청안테나, 무선LAN 등의 각종 무선설비 설계 및 설치공사를 감독, 시공하는 기술적인 업무를 수행한다.

위성통신 연구설계, 제작 및 관련 기간산업시설, 각종 생활편리성 등을 연구 개발한다.

적성 및 흥미

통신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은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기 위한 최첨단 시스템에 대한 기술개발능력이 필요하며 문제해결을 위한 분석력, 창의력, 판단력이 요구된다.

세심하고 꼼꼼한 성격을 가진 사람에게 유리하며 여러 명이 함께 공동 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책임감, 원만한 인간관계가 필요하다.

탐구형과 진취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분석적 사고, 리더십, 꼼꼼함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전산/정보통신분야
표준직업분류 2212통신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고용직업분류 1312통신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통신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은 유·무선 통신서비스업체, 컴퓨터네트워크업체, 방송국, 휴대폰 등 정보통신기기제조업체, 통신설비제조업체, 정보통신관련 연구소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대기업 부설연구소나 국·공립 연구소에서는 석사학위 이상 취득자에 한해 채용하기도 한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통신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과 관련 직업인 통신공학기술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통신 관련 산업은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으며, 초고속인터넷망 서비스 이용자나 이동전화 이용자 수도 다른 나라에 비해 빠르게 증가하였으나 성장 정체기에 들어선 것으로 판단된다. 폭발적인 모바일 트래픽 증가를 해소하기 위해 주파수 대역폭 확대에 따른 대용량·초고속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4세대 이후의 이동통신시스템으로의 진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LTE는 4세대 이후 사실상의 이동통신 표준 기술로 빠르게 확산되었으며, LTE가 진화함에 따라 이동성과 휴대가 간편한 스마트폰과 태블릿PC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 기기가 출현하여 사용자들에게 호응을 얻고 있다. 향후 무선 휴대 인터넷서비스인 와이브로, 5G 네트워크 등과 관련한 기술개발과 휴대성이 강화된 모바일 환경의 무선통신 전문 인력에 대한 수요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무선은 유선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안이 취약하므로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 보안과 관련한 전문 인력에 대한 수요는 앞으로도 지속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통신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과 관련 직업인 통신공학기술자의 임금수준은 하위(25%) 3420만원, 평균(50%) 3753만원, 상위(25%) 4080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통신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 및 대학교, 대학원에서 전기공학, 전자공학, 통신공학과, 컴퓨터공학과 등을 졸업하면 유리하다.
    관련학과에서는 통신이론, 광통신, 이동통신, 데이터통신 등 통신관련 과목에 대한 이론과 각종 실험·실습을 한다.

  • 관련 자격증

    관련 국가자격증으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정보통신산업기사 및 기사, 정보통신기술사와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서 시행하는 전파전자통신산업기사 및 기사, 방송통신산업기사 및 기사, 무선설비산업기사 및 기사, 방송통신산업기사 및 기사가 있다.

문의기관

IT종합정보데이터베이스 http://itfind.or.kr
한국전자통신연구원 http://www.etri.re.kr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http://www.kait.or.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