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공학분야(숙련직)

통신장비기사

평균연봉 : 3704↑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보통미만 고용평등 : 보통미만

유사직업명

통신장비설비원, 유선통신장비 설치 및 수리원, 무선통신장비 설치 및 수리원, 전화 설치 및 수리원, 통신위성장비 설치 및 수리원, 레이더 설치 및 수리원, 네트워크 장비 설치 및 수리원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스마트정보과 , 정보통신공학과 , 정보통신과 , 컴퓨터공학과 , 컴퓨터소프트웨어과 , 컴퓨터응용기계과
관련자격
전기기능사, 전기기능장, 전기산업기사, 전기기사, 전자기사, 통신기기기능사

하는일

통신장비기사는 무선중계기시스템, 유선통신장비, 무선통신장비, 위성통신장비 등 의 장비를 유지하고 관리하며 운용한다.

설치접수증을 확인하여 설치할 장소와 통신장비의 종류를 확인한다.

설계도면을 검토하여 통신선로를 분리하고 수동공구, 전기인두 등을 사용하여 전화기, 팩시밀리 등에 연결한다.

설치가 완료되면 선로시험원에게 연락하여 선로의 장애유무를 확인한다.

각종 측정장비를 사용하여 구내의 통신선로를 점검하기도 하며 파손된 장비를 수리하기도 한다.

적성 및 흥미

통신장비기사는 장치 및 부품을 설치, 조립 및 수리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며, 도면이나 회로도, 전기, 전자 구조에 따른 원리지식이 필요하다.

대부분 야외 공사현장과 야간에 작업할 때가 많으므로 안전관리에 유의해야 하며 도면대로 공사할 수 있는 꼼꼼함이 필요하다.

탐구형과 진취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분석적 사고, 꼼꼼함, 적응성 및 융통성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공학분야(숙련직)
표준직업분류 2250통신 및 방송 송출 장비 기사
고용직업분류 1360통신·방송송출 장비 기사

취업현황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통신장비기사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5~2025」(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통신 및 관련 장비 설치 및 수리원은 2015년 약 30천 명에서 2025년 약 31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약 1천 7백 명(연평균 0.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조사 자료에 의하면, 2014년 현재 통신장비 및 방송송출장비기사가 근무할 것으로 추정되는 방송업 및 유선통신, 무선통신, 위성통신 및 통신재판매업으로 구성된 전기통신업의 사업체는 총 2,423개소로 2008년 2,339개소에 비해 3.6% 증가하였다. 반면에 이들 산업의 전체 종사자는 2010년 79,826명에서 2014년 69,839명으로 14.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동 기간 방송업 종사자 수는 27,724명에서 28,607명으로 3.2%증가한 반면, 전기통신업에서는 97,826명에서 69,839명으로 12.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선통신에서 모바일 무선통신 서비스 분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면서 인력 수요의 부침이 있다. 오늘날 통신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이 거의 없을 정도로 기본적인 시설이 되었으며, 통신장비의 기술도 점차 발전하고, 통신회사 또한 증가하고 있다. 정보통신 산업이 발전하고 통신망에 대한 인프라도 확충되고 있으며 가입자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는 통신장비기사의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러나 통신장비 대신에 대중매체를 이용하여 정보를 습득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통신장비의 자동화로 최근 기지국이 무인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장비의 대형화가 이뤄지는 등 통신장비기사의 고용에 부정적인 요인이 맞물려 있다. 또한 통신장비기사는 임금이 낮고 고용이 불안정인 경향이 있어 이직하는 사람들을 대체하기 위한 채용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통신장비기사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통신장비기사의 임금수준은 하위(25%) 3141만원, 평균(50%) 3704.243만원, 상위(25%) 4790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통신장비기사가 되기 위해서는 공업계고등학교(정보고등학교)나 전문대학에서 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 통신공학과, 이동통신공학과, 방송통신공학과 등을 졸업하는 것이 유리하다.

  • 관련 자격증

    관련 국가자격증으로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정보통신산업기사, 통신선로산업기사와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서 시행하는 전파통신산업기사, 무선설비산업기사가 있다.

문의기관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http://www.kica.or.kr
한국전자통신연구원 http://www.etri.re.kr
방송통신위원회 http://www.kcc.go.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