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언론/문학분야

통역가

평균연봉 : 3268↑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매우좋음 고용평등 : 매우좋음

핵심능력

언어능력

유사직업명

순차통역사, 관광통역사, 비지니스통역사, 동시통역사

관련학과/관련자격

하는일

통역가는 외국인의 대화나 발표를 우리말로 전달하거나, 우리말을 외국어로 전달한다.

통역방법에는 동시통역, 순차통역, 수행통역, 위스퍼링통역 등이 있으며 상황에 따라 통역방법을 혼용해서 쓰기도 한다.

동시통역은 각종 국제회의나 세미나 등에서 사람들에게 연사의 말을 해당 국가의 언어로 실시간 통역하는 것이며, 순차 통역이란 발표자가 연설을 하면 통역가는 연설 내용을 기록한 후 옆에서 바로 발표자의 말을 이어서 통역을 하는 것이다. 수행 통역은 통역이 필요한 사람을 동반하면서 통역하는 것으로 사람을 따라다니면서 그 사람의 의사소통을 돕는 것이며, 위스퍼링(whispering) 통역은 속삭이듯 귓속말로 통역하는 것이다. 그 밖에도 원격 화상 회의 통역, 릴레이 통역 등의 방법이 있다.

적성 및 흥미

통역가는 높은 어학 능력, 표현력, 정확한 발음이 요구되며, 집중력과 순발력 등을 갖추어야 한다.

언어 외에도 해당국가의 풍습과 문화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있어야 한다.

항상 긴장감 속에서 일하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잘 이겨낼 수 있는 활발한 성격의 사람에게 유리하다.

진취형과 예술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적응성, 스트레스 감내, 책임감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언론/문학분야
표준직업분류 2814번역가 및 통역가
고용직업분류 0813통역가

관련자료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통역가가 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별도의 교육이나 훈련은 없다. 하지만, 국제회의 통역의 경우 국내 통역번역대학원을 수료하고 활동하는 사람이 많다.
    통번역대학원을 졸업하면 학교나 선배 추천으로 일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밖에 여러 개의 통역알선전문에이전시에 소속되어 일을 한다. 또한 대기업, 공공기관의 경우 공채를 거쳐 전담통역담당자로 채용하게 된다. 주로 프리랜서로 활동하며 능력을 인정받으면 많은 일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통역가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화로 경제교류가 늘어나면서 통역가의 고용은 꾸준히 증가해 왔다.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조사」에 따르면 번역 및 통역서비스업 사업체 수 및 종사자 수는 약간의 증감은 있지만, 꾸준히 증가 추세에 있다. 이는 번역 및 통역서비스업이 기업화되고, 이에 따라 인력의 운영 및 관리가 전문화, 체계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 세계에 다양한 언어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외국어뿐 아니라 각 나라의 문화와 환경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는 전문 통역가에 대한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전망된다. 영어와 중국어뿐 아니라 아랍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등 국제교류 대상국이 다양화되는 점도 이들의 활동무대를 넓히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국제교류의 증가는 반대급부로 외국어 사용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는 글로벌 인재의 수를 늘리는 역할도 하였다. 이에 따라 기업 내에서는 별도의 통역가를 두지 않고 내부 직원에게 통역 업무를 맡기거나 아예 외국어 실력이 뛰어난 사람을 실무 직원으로 채용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과거 별도의 통역이 필요했던 업무들이 줄어드는 점은 통역가의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번역서비스의 자동화와 마찬가지로 통역서비스 역시 인공지능 기술이 탑재된 로봇 등에 의해 일자리가 대체될 수 있는 요인이 존재한다. 따라서 과학기술의 발전의 발전 속도 및 혁신성 등은 장기적으로는 통역가의 일자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통역가는 시간대비 소득이 높은 편이고, 전문직으로 자기개발을 꾀할 수 있는 등 직업적 장점으로 인해 지망생들도 많은 편이다. 매년 통역번역대학원을 통해 배출되는 전문 인력이 많기 때문에 향후 통역가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또한 직업의 특성상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므로, 진입 장벽이 높고, 시장에서 요구하는 통역의 수준이 점차 높아지고 있어, 관련 방송이나 책자를 자주 접하는 등 자신의 전문 분야에 대한 지속적으로 공부가 요구된다. 특히, 국제회의 통역 분야는 국제 이슈에 늘 관심을 가져야 한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통역가의 임금수준은 하위(25%) 2554만원, 평균(50%) 3267.519만원, 상위(25%) 4480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통역가가 되기 위해서 특별한 자격 요건이 있는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4년제 대학 졸업 후 통역대학원 과정을 이수하거나, 대학에서 해당 언어를 전공하거나, 2~3년 정도 외국 체류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통역가로 활동한다.
    통역번역대학원에서는 영어, 중국어, 프랑스어, 독일어, 일본어 등 1개 이상의 외국어를 선택하여 다양한 통역방법과 정치, 경제 등에 대한 전문지식을 배울 수 있다. 국내 통역번역대학원은 입학시험도 까다롭고 입학 후 학습강도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직업 훈련

    통역번역전문대학원이나 사설학원에서 통역가가 되기 위한 교육과 훈련을 받을 수 있다.

문의기관

국제통역번역협회 http://iita.or.kr/
한국통번역진흥원 http://www.inkiti.co.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