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예술분야(전문직)

성악가 사진

평균연봉 : 3298↑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보통미만 고용평등 : 좋음

핵심능력

음악능력, 창의력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성악과

하는일

성악가는 독창, 중창, 합창의 형태로 고전 음악 및 가곡을 노래하며, 보통 합창단에 소속되어 합창 발표회를 하거나 독창, 중창회를 개최한다.

음악 악보를 보고 피아노나 오케스트라의 반주에 맞추어 리듬을 확인하고, 노래를 한다.

가사와 음악을 연구하고 다른 성악가 및 반주자와 음색을 조정하기도 하며, 오페라의 등장인물로 출현하여 대사를 음악에 맞추어 표현한다.

적성 및 흥미

타고난 음악적 재능과 예술적 감각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꾸준히 연습을 해야 하기 때문에 남다른 인내와 끈기가 요구된다.

악보 읽는 법 등 음악적 지식이 필요하며, 화성의 진행이나 악기들의 음색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청력이 요구된다.

노래에 대한 열정이 필요하다.

예술형과 탐구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인내, 성취, 책임감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예술분야(전문직)
표준직업분류 2846가수 및 성악가
고용직업분류 4146가수 및 성악가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성악가가 되려면 대학교에서 성악을 전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성악과를 졸업한 후, 국·공립 또는 사립 합창단, 관현악단(오케스트라), 교향악단 등의 단체에 소속되어 활동하거나 프리랜서 성악가로 활동할 수 있다.
    국·공립 또는 사립 합창단, 관현악단(오케스트라), 교향악단 등의 단체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입직전형에 합격해야 한다. 국·공립 음악관련 단체의 채용의 경우, 모집인원이 한정적이고 정기채용보다는 결원 발생 시 수시로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성악가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여가 활동이 증가하고, 문화예술에 대한 평가가 높아지면서 음악을 즐기거나 노래를 배우려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소비자 취향을 중시하면서 경제성이 있는 음악에 집중하면서 고전음악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전음악 관련 학과가 뮤지컬이나 영화음악 등의 학과로 대체되고 있어 이는 성악가의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음악 활동만으로 얻는 수입으로는 생계유지가 어려워 대학이나 학원에서 강의하는 등 다른 일을 겸하는 경우가 많지만 교육을 할 수 있는 일자리도 줄고 있는 편이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성악가를 비롯한 음악가는 다른 예술 분야와 마찬가지로 본인의 원하는 진로를 개척하기 위해 선택하는 직업이라는 점에서 음악과 예술에 대한 인간의 갈망이 사라지지 않는 한 음악가로 활동하려는 사람들은 꾸준히 생겨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국공립 단체에 소속되어 활동할 경우에는 보수가 안정적이고 신분이 보장되는 편이며, 결원 시 수시로 채용하는 경우가 많아 입직을 위해서는 치열한 경쟁을 치러야 한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성악가의 임금수준은 하위(25%) 2831만원, 평균(50%) 3298.069만원, 상위(25%) 3933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성악가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교의 성악 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것이 유리하다.
    대학교 성악과에서는 전공실기 시간을 통해 성악 테크닉과 음악성을 최대한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체계적이고 다양한 악곡을 배우며, 테크닉은 물론 악곡의 해석 및 표현을 연구한다. 또한 다양한 이론과 실습과목 즉, 6개 언어의 딕션수업, 음성학, 성악기법, 성악문헌, 오페라사, 오페라워크샵, 드라마연기법, 전공합창 등을 통해 연주자로서의 학문적 지식을 쌓는다.

  • 직업 훈련

    성악가가 되기 위해서는 어렸을 때부터 음악적 재능을 발견하고 성악가가 되기 위한 훈련과 교육을 받는 것이 유리하다.

  • 관련 자격증

    성악가가 되기 위해 요구되는 국가공인자격증은 없다.

문의기관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http://www.kmcia.or.kr/
한국문화예술위원회 http://www.arko.or.kr/
한국음악협회 http://www.mak.or.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