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공학분야(전문직)

방사성폐기물관리원

평균연봉 : 3766↑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보통미만 고용평등 : 보통미만

유사직업명

방사성폐기물처리원, 방사성안전관리자, 방사성폐기물처리원, 방사성안전관리자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원자력공학과
관련자격
원자력발전기술사, 원자력기사, 핵연료물질취급자면허

하는일

방사성폐기물관리원은 원자력 시설이나 방사성 물질을 다루는 작업장ㆍ실험실에서 나오는 폐기물의 처리설비 및 용기를 관리하고, 작업원을 감독한다.

방사성폐기물 처리 장치를 조작하고, 방사성폐기물의 처리가 제대로 처리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작업장의 방사능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방사성 물질 취급자를 감독하거나 방사성 동위원소 등의 사용, 저장, 운반 등에 관련된 사항들을 수행한다.

적성 및 흥미

화학·생물학적 기초지식이 필요하며, 방사성폐기물질의 처리 및 관리방법과 이와 관련된 정부규정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방사선이나 핵폐기물과 같은 위험물을 다루므로 주의력이 필요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공학분야(전문직)
표준직업분류 2364산업 안전 및 위험 관리원
고용직업분류 1584산업 안전원 및 위험 관리원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공채나 특채 등을 통해 원자력 연구소 및 폐기물관련 업체 등에 채용될 수 있다.

  • 고용현황

    방사성폐기물관리원을 포함한 환경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의 종사자 수는 13,000명이며, 자원?에너지 위기와 환경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정부에서는 「자원순환기본법」을 통해 폐기물 발생 최소화, 폐기물 순환이용 시스템 구축, 폐기물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연구 및 개발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어 향후 10년간 고용은 연평균 1.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자료: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 임금수준

    방사성폐기물관리원의 평균연봉(중위값)은 3766만원이다(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방사성폐기물관리원이 되기 위해서는 대학교의 원자력 관련 학과를 졸업해야 한다.

  • 관련 자격증

    관련 국가자격증으로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서 시행하는 원자력기사, 원자력발전기술사와 교육부에서 시행하는 핵연료물질취급면허가 있다.

문의기관

한국원자력환경공단 https://www.korad.or.kr
한국원자력학회 http://www.kns.org
한국원자력연구원 http://www.kaeri.re.kr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http://www.kins.re.kr
한국원자력산업회의 http://www.kaif.or.kr
한국원자력문화재단 http://www.knea.or.kr
한국수력원자력 http://www.khnp.co.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