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서비스(전문직)

발명가

평균연봉 : 4835↑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좋음 고용평등 : 보통미만

핵심능력

언어능력, 수리논리력, 자기성찰능력, 대인관계능력

유사직업명

발명자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벤처창업학과

하는일

발명가는 아직까지 없던 기술이나 물건을 새로 생각하여 만들어 내는 일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으로, 발명가는 새로운 아이디어 생각해 내고 시제품(시험 삼아 만들어 본 제품)을 만든다.

발명가는 자신이 생각해 낸 발명품의 개요를 적어 개인 직접 특허청에 특허출원(발명을 한 사람이 국가에 대하여 그 특허를 요구하는 것)을 신청하거나 특허사무소나 변리사를 통하여 특허를 신청하기도 한다.

중소기업이나 대기업 등에 자신이 발명하여 획득한 발명 특허권(특허법에 의하여 발명을 독점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권리)을 팔기도 한다.

자신이 발명한 특허기술을 바탕으로 벤처회사를 설립하거나 상품화하여 팔기도 한다.

적성 및 흥미

창의적인사고, 새로운 생각을 잘하는 학생에게 적합하다.

과학적 지식과 자연을 잘 관찰할 수 있는 능력, 호기심이 풍부한 학생에게 유리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서비스(전문직)
표준직업분류 2351기계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고용직업분류 1511기계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발명가는 개인발명가와 기업 소속 발명가로 나눌 수 있는데, 개인발명가는 자신의 집이나 연구소에서 활동하며, 기업 소속 발명가는 공채나 특채를 통해 기업의 연구소에 입사한다.

    자신이 발명한 특허기술을 바탕으로 벤처회사를 창업할 수도 있다.

  • 고용현황

    발명가를 포함한 기계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의 종사자 수는 109,000명이며, 향후 10년간 고용은 연평균 0.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자료: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 임금수준

    발명가를 포함한 기계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의 평균연봉(중위값)은 4,835만원이다(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발명가가 되기 위해 요구되는 학력의 제한은 없다. 다만 수학, 과학, 물리 등 이과 계열과목을 열심히 공부하면 발명가가 되는데 유리하다.

  • 직업 훈련

    초·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학교발명협회, 한국발명진흥회 등 관련기관에서 운영하는 발명교실이나 발명캠프 등의 교육훈련을 받을 수 있다.

  • 관련 자격증

    발명가가 되기 위해 요구되는 관련 국가공인자격증은 없다.

문의기관

특허청 http://www.kipo.go.kr
한국학교발명협회 http://www.kasi.org
한국발명진흥회 http://www.kipa.org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