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공학분야(숙련직)

방수원

평균연봉 : 3199↑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보통미만 고용평등 : 보통미만

유사직업명

방수공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건축공학과 , 금형설계과 , 산업설비자동화과
관련자격
방수기능사

하는일

방수원은 건물이나 구조물의 바닥, 지붕, 벽체에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재료를 바르거나 붙이는 일을 한다.

방수 작업을 할 부위를 확인하고, 방수제와 시멘트 모르타르의 혼합물이나 액체 상태의 방수재 등을 시공면에 바른다.

아스팔트 접착제를 시공면에 바른후 녹인 아스팔트콤파운드를 바르면서 루핑을 깔고 보호용 시멘트몰타르를 입힌다.

롤러로 프라이머로를 시공면에 칠하고 합성수지 시트(sheet)를 붙인 다음 시트가 겹친부분을 토치램프로 녹여서 접착시킨다.

사용한 방수 재료에 따라 코팅제를 마지막으로 바르기도 하며, 방수 시공이 잘 되었는지 검사한 다음 작업을 완료한다.

적성 및 흥미

무거운 방수 재료를 직접 옮기고 시공해야하므로 신체적으로 건강해야 한다.

사회형과 현실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꼼꼼함, 협조심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공학분야(숙련직)
표준직업분류 7832방수공
고용직업분류 7022방수공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소개 및 알선, 기업체의 구인공고 등을 통해 해당 전문공사업체(단종업체), 내장공사업체, 인테리어업체, 지물포 등에 채용될 수 있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방수원과 관련 직업인 방수공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하거나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5-2025 중장기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방수공은 2015년 약 12.5천명에서 2025년 약 13.3천명으로 향후 10년간 0.9천명(연평균 0.7%) 정도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수공의 일자리는 건설경기 전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100%를 상회하는 주택보급률, 저출산?고령화 등에 따른 신규건축 수요 감소, 가계대출 억제와 신규 분양물량 조절 정책 등으로 민간건축시장이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건축부재를 모듈화하여 공장에서 사전 제작하는 등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습식공사(미장, 방수, 조적, 타일 등)를 줄이는 방향으로 기술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반면에 기존 오래된 건축물이 증가하면서 유지보수 업무가 꾸준히 증가할 것이다. 국내 건설 산업이 2020년을 전후하여 본격적인 성숙 단계에 진입하면서 기존 건축물에 대한 리모델링과 재건축 시장이 성장할 것이고, 침체된 도심을 되살리는 도시재생 사업도 본격화할 것이다. 문화와 여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각종 박물관, 미술관, 체험관 등의 문화시설, 숙박시설, 레저시설 등에 대한 건축 수요가 증가할 것이다. 건설기능공의 고용시장을 보면, 불안정한 고용, 높은 작업강도, 안전사고 위험 등으로 인해 청년층의 신규 진입이 적고, 기존 근로자는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어, 숙련기술을 익힌 청?장년층은 취업이 비교적 용이할 수 있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방수원과 관련 직업인 방수공의 임금수준은 하위(25%) 2787만원, 평균(50%) 3199.469만원, 상위(25%) 3826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방수원이 되기 위해 요구되는 학력의 제한은 없다.

  • 직업 훈련

    직업전문학교에서 방수관련 훈련과정을 이수하거나 현장에서 숙련공의 보조원으로 일을 배울 수 있다.

  • 관련 자격증

    관련 국가자격증으로는 방수기능사 등이 있다.

문의기관

미장방수조적공사업협의회 http://www.pwtmc.or.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