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공학분야(숙련직)

배관원

평균연봉 : 3796↑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보통미만 고용평등 : 보통미만

유사직업명

건축배관공, 공업배관공, 배관공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건축공학과 , 금형설계과 , 산업설비자동화과
관련자격
배관산업기사, 배관기능장

하는일

배관원은 건축물에 물, 가스, 증기 또는 기타 물질을 운반하는 배관시설을 제작하고 설치하며, 배관시설의 유지와 보수에 관련된 일을 한다.

건물 설계도와 도면을 검토하고 현장검증을 하여, 배관 설비에 필요한 재료와 장비, 노동력 등을 판단하여 배관설비의 구조도면에 따라 파이프를 절단가공한다.

배관시설을 설비할 곳에 구멍을 뚫어 배관 파이프를 설비하고 파이프간의 연결부위를 봉합용접하여 밀봉한다.

오래되어 낡거나 고장이 난 건물의 배관 및 연관 시설을 수리하거나 교체한다.

누수 또는 결함부위를 찾아내기 위하여 배관시설을 시험한다.

파이프 및 기타 재료를 절단, 절곡, 나사성형, 납땜, 용접, 조립하기 위하여 다양한 수공구 및 동력공구를 기술적으로 사용한다.

적성 및 흥미

건축도면과 배관도면을 이해하여 배관 공사를 정확하게 마무리할 수 있는 꼼꼼함과 정확성이 요구된다.

신체적으로 건강해야 한다.

현실형과 탐구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꼼꼼함, 스트레스 감내, 협조심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공학분야(숙련직)
표준직업분류 7921건설 배관공
고용직업분류 7031건설 배관공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소개 및 알선, 기업체의 구인공고 등을 통해 건축설비공사업체, 소방설비업체, 상하수도공사업체 등에 채용될 수 있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배관원과 관련 직업인 배관공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5~2025」(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건설배관공은 2015년 약 62.8천 명에서 2025년 약 61.8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1천 명(연평균 -0.2%)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배관공의 고용은 건설경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100%를 상회하는 주택보급률, 저출산?고령화 등에 따른 신규건축 수요 감소, 가계대출 억제와 신규 분양물량 조절 정책 등으로 민간건축시장이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기존 오래된 건축물이 증가하면서 유지보수 업무가 꾸준히 증가할 것이다. 국내 건설 산업이 2020년을 전후하여 본격적인 성숙 단계에 진입하면서 기존 건축물에 대한 리모델링과 재건축 시장이 성장할 것이고, 침체된 도심을 되살리는 도시재생 사업도 본격화할 것이다. 이를 통해 노후화된 상하수도 배관이나 가스 배관에 대한 교체 공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건설기능공의 고용시장을 보면, 불안정한 고용, 높은 작업강도, 안전사고 위험 등으로 인해 청년층의 신규 진입이 적고, 기존 근로자는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어, 숙련기술을 익힌 청?장년층은 취업이 비교적 용이할 수 있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배관원과 관련 직업인 배관공의 임금수준은 하위(25%) 3371만원, 평균(50%) 3796.419만원, 상위(25%) 4255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배관원이 되기 위해 요구되는 학력의 제한은 없다.

    공업고등학교, 직업전문학교, 인력개발원 등에서 공업배관, 건축배관, 배관용접 등의 관련기술을 습득한다

  • 직업 훈련

    직업전문학교에서 공업배관이나 건축배관과 관련된 훈련과정을 이수하거나 현장에서 숙련공의 보조원으로 일을 배울 수 있다.

  • 관련 자격증

    관련 국가자격증으로는 배관기능장, 배관사, 배관설비산업기사가 있다.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