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서비스(전문직)

프로게이머

평균연봉 : 3002↑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매우좋음 고용평등 : 보통미만

핵심능력

공간시각능력

유사직업명

게이머

관련학과/관련자격

하는일

프로게이머는 각종 컴퓨터게임 대회에 참가하여 게임을 한다.

프로게이머는 게임감독, 팀원들과 함께 전략시뮬레이션, 롤플레잉, 액션게임, 온라인게임 등 컴퓨터 게임에 대한 기술 및 전략을 익히고 꾸준히 연습하여 각종 대회에 참가한다.

소속회사에서 개발한 새로운 게임소프트웨어에 대한 베타테스트를 하며, 새 게임소프트웨어가 출시되면 시연회와 홍보를 하기도 한다.

적성 및 흥미

프로게이머는 집중력과 분석적 사고가 있어야 하며, 정교한 손동작과 빠른 신체반응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새로운 게임이나 컴퓨터, 장비 등에 대한 전반적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어려운 상황에도 심리적 평정 유지할 수 있는 자기통제능력과 인내심, 끈기가 있어야 한다.

예술형과 탐구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스트레스 감내, 성취, 혁신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서비스(전문직)
표준직업분류 2869기타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관련 전문가
고용직업분류 1275프로게이머

관련자료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프로게이머가 되기 위해서는 우선 공인된 게임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내야 한다. 공인된 게임 대회에서 연 2회 이상 입상을 하게 되면 프로게이머로 등록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고 프로게임단과 계약을 통해 프로게이머로서 활동할 수 있다.
    대회에서 입상은 하지 못하더라도 실력을 인증 받은 사람은 프로게임단에서 연습생 신분으로 훈련을 통해 대회를 준비하기도 한다.
    대한민국 프로게임을 주관하는 곳은 KeSPA 이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프로게이머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초고속 인터넷의 확산과 인기 게임의 영향으로 싹튼 국내 e-스포츠는 지난 10년간 게임대회 개최와 게임방송 출범 등 발전을 거듭하며 문화콘텐츠 산업의 큰 축으로 성장했다. 2014년 제주 전국체전에서는 e스포츠가 동호인종목으로 진입하면서 스포츠화의 첫발을 내딛게 되었다. 또한 아마추어 e스포츠 대회가 지속적으로 진행되면서 e스포츠가 생활 스포츠로서 많은 이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문화로 자리잡히고 있다. 앞으로도 e-스포츠산업 전반에서 각종 게임대회 개최와 리그의 활성화로 입상자가 늘어남에 따라 프로게이머 자격을 갖춘 사람이 증가할 것이며, 새로운 공인게임 종목 등장에 따른 프로게이머 수요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프로게이머가 되고자 하는 청소년은 많지만 아마추어로 시작해 준프로게이머 자격을 갖춘 후 프로게이머가 되는 경우는 극히 일부이기 때문에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또한, 프로게임단에 신규로 입단할 수 있는 인원도 제한적이어서 고용 증가 폭이 그리 크지는 않을 것이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프로게이머의 임금수준은 하위(25%) 2728만원, 평균(50%) 3002.333만원, 상위(25%) 4623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프로게이머가 되기 위해 특별히 요구되는 학력은 없다. 프로게이머에 대한 교육은 전문대학 및 대학교의 게임 관련 학과에서 받을 수 있다.

문의기관

한국이스포츠협회 http://www.e-sports.or.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