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공학분야(숙련직)

플라스틱제품제조원

평균연봉 : 3222↑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보통미만 고용평등 : 보통미만

유사직업명

경화성수지성형기조작원, 사출성형기조작원, 장난감모델제조원, 진공성형기조작원, 플라스틱제품제조반장

관련학과/관련자격

하는일

플라스틱제품제조원은 각종 플라스틱 제품을 제작하기 위해 합성수지, 안료 등의 여러 화학재료를 혼합, 가공하는 기기 및 장치를 조작한다.

작업지시서에 따라 필요한 합성수지, 안료 등의 재료를 준비하여 계량하고, 일정비율로 배합하여 플라스틱 제품 제조기기에 투입한다.

합성수지, 안료 등의 각종 재료를 계량하고 일정비율로 배합하고 제조공정에 따라 다이, 롤러, 금형, 칼, 연마휠 등의 부착물을 장착한다.

재료 및 부품을 공정에 따라 혼합, 사출, 압출, 압착, 주입, 성형, 조립, 마무리하는 각종 기계장치를 조정, 조작한다.

완성된 제품의 치수를 측정하고, 기포, 균열, 뒤틀림 및 기타 결함여부를 검사하고 군더더기를 제거하여 마무리한다.

적성 및 흥미

플라스틱 제조 과정 및 각종 화학 재료의 성분 등에 대한 지식과 이해가 요구된다.

생산 공정이나 장치에 문제발생시 문제의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문제해결능력이 요구된다.

기계에 대한 흥미와 지식이 요구되며, 새로운 기계나 공법에 대한 신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현실형과 탐구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혁신, 리더십, 남에 대한 배려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공학분야(숙련직)
표준직업분류 8323플라스틱제품 생산기 조작원
고용직업분류 8522플라스틱제품 생산기계 조작원

관련자료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공채나 교육 기관의 소개 등을 통해 플라스틱제품제조업체에 채용될 수 있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플라스틱제품제조원과 관련 직업인 플라스틱제품생산기조작원의 고용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5~2025」(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2015년 플라스틱제품생산기조작원은 82천명으로 향후 5년간 6천명, 향후 10년 간 (2015-2025) 9천명이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저유가 기조와 함께 플라스틱제품 분야의 수요 증가가 고용증가 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 플라스틱제품 분야는 가공성이 우수하여 개인의 취향에 맞춘 제품제작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 때문에 최근 개인의 개성 추구를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은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수요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플라스틱 제조업 분야에서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P)에 관심과 개발이 집중되고 있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일반 범용 플라스틱과 달리 기계적 강도, 내열성 및 내마모성이 뛰어나 기계부품이나 구조재료 등 금속을 대체할 수 있는 플라스틱을 말하며, 자동차 부품을 중심으로 기계·전기전자 부품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시장 확대가 기대되며, 수요 성장률도 연평균 8% 이상 고성장이 예상되고 있어 국내 플라스틱 제조업체에서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대한 투자와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보여 관련 일자리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부정적인 요인으로 국내 인건비 상승 및 물류비용 증가 등의 영향으로 해외로 이전하거나 자동화를 추진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수출의 중국의존도가 커지면서 중국의 자급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성장세가 둔화되면서 고용에 부정적이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플라스틱제품제조원과 관련 직업인 플라스틱제품생산기조작원의 임금수준은 하위(25%) 2753만원, 평균(50%) 3221.641만원, 상위(25%) 3700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플라스틱제품제조원이 되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졸업의 학력이 필요하다.

  • 직업 훈련

    취업 후 일정기간의 수습기간을 거쳐 제조공정에 관련된 제반업무 및 기능을 배우게 된다.

  • 관련 자격증

    플라스틱제품제조원이 되기 위해 요구되는 국가공인자격증은 없다.

문의기관

한국프라스틱공업협동조합연합회 http://www.kfpic.or.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