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예술분야(숙련직)

플로리스트

평균연봉 : 3174↑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매우좋음 고용평등 : 매우좋음

핵심능력

손재능, 공간시각능력, 창의력

유사직업명

아트플라워디자이너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원예과 , 원예학과
관련자격
화훼장식기능사

하는일

플로리스트는 꽃, 식물, 화초 등의 화훼류를 여러 가지 목적에 따라 보기 좋게 꾸미는 일을 한다.

화훼가 시들지 않도록 적정 온도와 습도를 갖추어 보관하고, 고객의 요청에 따라 꽃을 포장하여 판매한다.

각종 행사장전시나 이벤트를 위해 기능성과 미적 효과가 높은 장식물을 계획하는 것에서부터 디자인, 제작, 그리고 유지와 관리하는 일을 수행한다.

단순히 꽃을 장식하는 것뿐 아니라 꽃 장식품의 경제적 효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 꽃의 재배, 유통, 소재에 대한 지식과 더불어 식물의 학명과 꽃의 종류 등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적성 및 흥미

미적 감각과 색채 감각이 있어야 하며, 새로운 아이디어로 작품을 제작할 수 있는 창의력이 요구된다.

꼼꼼하게 만드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에게 적합하며 정교한 손동작과 건강한 체력이 필요하다.

예술형과 탐구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혁신, 성취욕, 끊임없이 노력하는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예술분야(숙련직)
표준직업분류 7911공예원
고용직업분류 8841공예원

관련자료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특별한 학력이 필요하지 않으며, 숙련공예원에게 기능을 전수받아야 한다.
    종이제품, 지점토 등의 공예는 전문학교 등에서 교육 훈련을 받은 후 자격증을 취득하기도 한다.
    사설교육기관을 통해 관련 교육과정을 이수한 후에 공방을 직접 창업하기도 한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플로리스트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꽃소비는 경기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결혼식 등 각종 행사의 감소로 예전처럼 꽃소비가 활성화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즉, 상대적으로 불경기에 민감한 편이고 이에 따라 플로리스트의 활용 영역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다만, 주택이나 사무실 등에서 꽃이나 식물을 키우는 문화가 보편화되어 있는 점은 플로리스트의 고용 유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프롤리스트가 운영하는 꽃집, 화원 등은 소자본 창업이 가능하다는점에서 여성들의 진출이 많고 이에 따른 경쟁이 심한 편이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플로리스트의 임금수준은 하위(25%) 2699만원, 평균(50%) 3173.509만원, 상위(25%) 3869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플로리스트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이나 4년제 대학에서 원예학과 등 관련학과에서 교육받을 수 있다.

  • 직업 훈련

    사설학원이나 직업전문학교에서 플로리스트가 되기 위한 훈련과 교육을 받을 수 있다.

  • 관련 자격증

    관련 자격증으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화훼장식기능사, 화훼장식기사가 있다.

문의기관

한국꽃예술작가협회 http://www.floralart.or.kr/
한국플로리스트협회 http://www.kflorist.or.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