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공학분야(숙련직)

판금원

평균연봉 : 3593↑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좋음 고용평등 : 보통미만

유사직업명

금속창호설치원, 대차프레임제작반장, 보일러제작원, 제관반장, 차체제작반장, 차체판금원, 창호제작반장, 창호제작원, 보일러설치원, 판금공, 판금공, 자동차판금원, 항공기판금원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기계과
관련자격
판금제관기능장

하는일

판금원은 철판, 알루미늄, 동, 주석 등과 같은 얇은 금속판을 가공하여 자동차, 선박, 가전제품 등에 사용되는 각종 금속제품을 제작한다.

도면이나 작업 지시서를 검토하여 어떤 제품을 제작해야하는지 파악하고, 제품의 제작 전개도를 그린다.

해머, 측정용 공구, 펀치, 절단기,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얇은 금속판으로 필요한 공작물을 제작한다.

금속판을 절단, 절곡, 천공, 조립, 용접하기 위하여 다양한 수공구 및 동력 공구를 기술적으로 사용한다.

완성된 제품의 형태와 치수, 마무리 상태 등을 확인하고 이상이나 결함이 발견되면 수리한다.

적성 및 흥미

도면을 완벽하게 이해하여 컴퓨터를 이용하여 전개도를 그리고 제품을 제작해낼 수 있는 능력(CAD/CAM)이 요구된다.

얇은 금속판을 절단기나 가위로 자르는 등 손작업이 많으므로 손재주가 필요하며, 날카로운 금속을 자르거나 용접할 때 안전사고가 나지 않도록 항상 주의하는 자세가 요구된다.

현실형과 탐구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꼼꼼함, 신뢰, 책임감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공학분야(숙련직)
표준직업분류 7422판금원
고용직업분류 8221판금원

관련자료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공채나 교육기관 소개 등을 통해 조립금속제품 제조업체, 철제가구, 가전제품, 주방용품, 전자제품, 보일러 관련제품 제조업체 등에 채용될 수 있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판금원 및 판금기조작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판금원의 고용을 결정하게 되는 주요 산업은 철강관제조업, 구조용 금속제품 제조업, 금속탱크, 저장보, 유사용기 제조업 등인데 자동차, 조선산업의 활황에 기인한 전방산업의 효과 및 제품의 다양화 요구에 부응한 다품종 소량생산체제로 인해 관련 인력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고기능성 플라스틱, 비철금속 소재 등 신소재 대체 재료의 개발이 확대되고, 공정의 자동화와 기계화로 인력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지는 않다. 특히 CAD/CAM 등 컴퓨터 프로그램의 사용으로 업무 효율화가 이뤄지고 공정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기존 판금 및 제관 분야의 인력감축이 예상된다. 최근 판금기능사 국가기술자격시험 응시율도 급격히 떨어지고 있는데 이는 판금 분야에서 신규인력수요 창출이 어렵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한편, 보일러, 덕트, 에어컨 케이스 등의 제작 업무는 숙련을 요구하는 작업으로, 이 분야에 종사하는 판금제관 기능공은 어느 정도 고용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숙련을 요하는 작업이 많으므로 판금에 전문기술을 가진 기능공은 취업에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판금원의 임금수준은 하위(25%) 3064만원, 평균(50%) 3593.379만원, 상위(25%) 4066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판금원이 되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이 요구된다.

  • 직업 훈련

    직업전문학교에서 일반판금, 타출판금, 자동차판금 관련 훈련을 받거나 현장에서 숙련공을 보조하면서 필요한 기능을 배울 수 있다.

  • 관련 자격증

    관련 국가자격증으로는 판금기능사, 판금제관기능사, 판금제관산업기사, 판금제관기능장 등이 있다.

문의기관

한국기계산업진흥회 http://www.koami.or.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