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공학분야(숙련직)

펄프 및 종이 생산직

평균연봉 : 4019↑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보통이상 고용평등 : 보통미만

유사직업명

제지설비 운전원, 건조기조작원, 고해기조작원, 골판지제조원, 닥피증해원, 닥피표백원, 리와인더조작보조원, 리와인더조작원, 비터기조작원, 석회소성로조작원, 솔질원, 압착탈수원, 와이어조작원, 원료투입원, 재단기조작원, 절단원, 정선기조작원, 제호설비조작원, 조약원, 캘린더조작원, 탈묵기조작원, 프레스기조작원, 해리기운전원, 쇄목기조작원, 농축기조작원, 엠보싱기조작원, 펄프다이제스터조작원, 종이건조기조작원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자격
임산가공산업기사, 임산가공기사, 임산가공기능사

하는일

펄프 및 종이 생산직은 각종 식물성 물질, 섬유, 펄프 등을 가공하여 종이나 판지 등을 생산하는 기계를 조작한다.

작업명세서를 통해 종이 제작에 필요한 식물성 물질, 섬유, 펄프, 약품 등과 장비를 준비한다.

벌목한 나무의 껍질을 벗긴 후에 쇄목기에 넣어 나무를 파쇄하여 죽처럼 만들어서 이것을 정선기에 넣어 펄프에 쓰일 수 있는 것만을 골라 종이형성에 적당한 농도로 농축시킨 후에 표백하고, 약품과 일정한 비율로 배합하여 종이원료를 만든다.

헌 신문이나 잡지, 기타 폐지를 물과 약품에 섞어서 작은 섬유입자로 풀어준 후에 탈묵기에서 폐지 속의 잉크입자를 제거하고, 약품과 일정한 비율로 배합하여 종이원료를 만든다.

적성 및 흥미

종이가공기계 및 장치를 활용하고 필요시에는 정비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목재절단이나 화학약품 배합시, 작업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항상 조심하고 유의하는 주의력이 필요하다.

현실형과 탐구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혁신, 독립성, 리더십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공학분야(숙련직)
표준직업분류 8913펄프 및 종이 제조 장치 조작원
고용직업분류 8822펄프·종이 제조장치 조작원

관련자료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공채나 교육기관의 소개 등을 통해 펄프가공회사, 제지가공회사 등에 채용될 수 있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펄프 및 종이 생산직과 관련 직업인 펄프 및 종이제조장치조작원의 고용은 현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펄프 및 종이제조장치조작원이 주로 활동하고 있는 제지산업은 펄프제조업, 종이 및 판지제조업으로 구성된다. 제지산업은 성숙기에 이미 접어들어 신규 일자리 창출이 쉽지 않다. 온라인 쇼핑 및 택배시장의 확대로 골판지 분야에서 긍정적인 면도 있지만 인터넷, 디지털미디어 발전에 따라 신문용지, 인쇄용지 등에서는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장치산업인 제지산업은 이미 시설 자동화가 많이 이루어졌으며 특히 인건비저감 및 기업경쟁력 차원에서 자동화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여 인력수요 전망도 밝지 못한 편이다. 또한 중국, 동남아 등 개발도상국들의 저가 공세에 또한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단, 개도국의 경우 높은 경제성장이 기대되고 인구대비 종이, 판지 소비수준이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이어서 수요확대 여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펄프 및 종이 생산직과 관련 직업인 펄프 및 종이제조장치조작원의 임금수준은 하위(25%) 3255만원, 평균(50%) 4019.305만원, 상위(25%) 5964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펄프 및 종이 생산직이 되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이 요구된다.

  • 직업 훈련

    취업 후, 숙련공을 보조하면서 관련 기능을 습득할 수 있다.

  • 관련 자격증

    관련 국가자격증으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목재가공기능사, 임산가공기사 및 산업기사, 펄프제지기능사가 있다.

문의기관

한국제지공업협동조합 http://www.paperworld.or.kr
산림청 http://www.forest.go.kr
한국제지연합회 http://www.paper.or.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