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소비자경제분야

패턴사

평균연봉 : 3271↑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매우좋음 고용평등 : 매우좋음

유사직업명

숍마스터, 재단사, 모델리스트, 패턴제작원, 매트리스본제조원, 옷본 제작원, 모자본 제작원, 우산본 제작원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섬유디자인과 , 섬유디자인학과 , 의류ㆍ의상학과 , 패션디자인과
관련자격
양복기능사, 한복기능사, 한복산업기사, 패션디자인산업기사, 양장기능사

하는일

패턴사는 디자이너의 스케치나 작업지시서에 따라 의류의 패턴 즉, 기본 모형을 제작하는 일을 담당한다.

디자이너의 스케치나 작업지시서를 확인하고, 패턴용지나 컴퓨터 프로그램(CAD)을 이용하여 의류의 패턴을 그린다.

의복의 본을 패턴 용지 위에 제도하고, 패턴라인대로 오려내어 패턴모형을 만든다.

의복제작에 사용할 원단재질의 특성을 고려하여 패턴제작에 반영하며, 의복의 치수와 모양 등의 내용을 명시하고 체형이나 크기에 따라 각기 다른 크기의 패턴을 제작하기도 한다.

패턴에 따라 시제품을 제작하고, 패턴과 시제품을 비교하여 패턴을 수정보완한다.

적성 및 흥미

의복 디자인과 의복제조 등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미적 감각과 손재주, 꼼꼼함을 가지고 신체지수에 따른 옷본을 정확하게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디자이너, 의복재단사와 서로 협력해야 하므로 원만한 대인관계능력이 요구되며, 끊임없는 노력을 통해 디자이너가 의도하는 바에 따라 완벽하게 패턴을 제작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소비자경제분야
표준직업분류 7211패턴사
고용직업분류 8621패턴사

관련자료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공채나 개인적 소개, 교육기관의 소개 등을 통해 의류제조업체나 패턴전문업체에 채용될 수 있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패턴사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의류업계는 경기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과거 20여 년간 국내 패션시장은 성장기에 있었으나 이제 저성장 시대로 진입했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장기적인 경기 침체로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의류소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고, 해외브랜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해외 브랜드의 국내 진출이 크게 늘었다. 의류업체 간의 과도한 경쟁과 중국, 베트남 등 저원가 생산국이 국내시장을 잠식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섬유를 많이 수출하는 나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는 한국에서는 외국과는 달리 패턴사의 인식이 그 중요도에 비해 그리 높지 않은 편이다.또한 의상업계는 예전에 비해 패턴사의 인원을 많이 감축시켜 최소한의 인원으로 패턴실을 운영하고 있고, 패턴업무를 패턴전문업체에 의뢰하거나 임금이 싼 중국 등에 하청을 주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컴퓨터가 발달되면서 패턴분야도 많은 부분이 전산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컴퓨터가 완성패턴 데이터를 풍부하게 갖추고 있어 이 중 하나의 스타일을 택해 신체치수만 입력하면 패턴제작이 되는 패턴캐드까지 등장하고 있어 패턴사의 고용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패턴사의 임금수준은 하위(25%) 2974만원, 평균(50%) 3271.327만원, 상위(25%) 3912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패턴사가 되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이 요구되지만, 전문대학이나 대학교의 의류관련학과를 졸업하는 것이 유리하다.

  • 직업 훈련

    직업전문학교나 사설학원의 의복 관련 훈련 및 교육과정을 이수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숙련 패턴사를 보조하면서 필요한 기능을 배울 수 있다.

  • 관련 자격증

    관련 국가자격증으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양복기능사 및 산업기사, 양장기능사, 한복기능사 및 산업기사, 패션디자인산업기사가 있다.

문의기관

한국의류산업협회 http://www.kaia.or.kr
한국의류학회 http://www.ksct.or.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