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서비스(숙련직)

패션코디네이터

평균연봉 : 2695↑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매우좋음 고용평등 : 좋음

핵심능력

손재능, 공간시각능력, 창의력

유사직업명

패션어드바이저, 샵 매니저, 스타일리스트

관련학과/관련자격

하는일

패션코디네이터는 방송이나 공연의 성격, 연예인의 성격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의상과 장신구 등을 준비하고, 준비한 의상과 장신구들이 잘 조화될 수 있도록 연출하는 일을 담당한다.

드라마나 영화의 등장인물의 성격과 외모를 분석하고, 이를 방송 연출자와 배우와 상의하여 의상 연출 방향을 결정한다.

의상 연출 방향이 결정되면 이에 알맞은 의상이나 악세서리를 구입 또는 대여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직접 의상을 제작하기도 한다.

패션 경향에 대한 정보를 수집분석하고, 고객의 외모나 성격, 직업 등에 적합한 의상이나 장신구 등을 추천하고 연출해준다.

적성 및 흥미

유행에 민감한 분야이므로 패션 동향의 흐름을 파악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과 의상에 대한 이해력, 색채감각, 독창적인 구성력과 기획력 등이 필요하다.

필요에 따라 공연이나 무대에 어울리는 의상을 제작해낼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며, 고객에 대한 서비스 정신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의류 업체와의 원만한 협의와 협상을 통해 연예인의 의상 협찬을 받아낼 수 있는 협상력,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이 요구된다.

예술형과 현실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서비스(숙련직)
표준직업분류 4229기타 미용 관련 서비스 종사원
고용직업분류 5119기타 미용 서비스원

관련자료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전문대학 및 대학교에서 의상과, 의상(패션)디자인과 또는 (패션)코디네이션과 등에서 교육을 받은 후 프리랜서로 활동하거나 광고대행사, 잡지사, 영화사 등에서 전속코디네이터로 진출할 수 있다.
    대학에서도 의상전공을 하지 않더라도 고졸이나 비전공자들도 사설학원에서 코디네이터 과정을 수료 후 진출할 수도 있다. 학원 교육수료 후 추천에 의해 백화점 매장에 채용되거나 광고대행사, 잡지사에서 스타일리스트로 활동할 수 도 있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패션코디네이터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방송사에서는 프로그램 담당 코디네이터가 정해져 있으므로 드라마나 쇼프로그램 등의 제작 편수와 코디네이터의 일자리는 상관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종합편성채널 등의 성장과 영화산업의 발달, 미디어 발달에 따른 다매체, 다채널로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작되고 있어 이는 방송 및 영화분야에서 활동하는 패션코디네이터의 일자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방송, 광고 및 홍보의 중요성이 가중됨에 따라 방송현장(공중파, 위성, 케이블, 인터넷) 뿐만 아니라 잡지사, 광고대행사, 매니지먼트사, 에이전시, 프로덕션, 웨딩업체 등 다양한 영역에서 코디네이터를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프리랜서들로 꾸준히 본인의 실력을 향상시켜 나가지 않으면 도태될 수 있으며, 대학에서의 전공자나 코디네이터를 양성하는 훈련교육기관의 수료생도 많은 편이어서 패션코디네이터로 노동시장에 진입하기 위한 일자리 경쟁은 치열할 전망이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패션코디네이터의 임금수준은 하위(25%) 2233만원, 평균(50%) 2695만원, 상위(25%) 3041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패션코디네이터가 되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이 요구되지만, 전문대학이나 대학교의 의상 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것이 유리하다.
    전문대학 및 대학교에서 의상과, 의상(패션)디자인과 또는 (패션)코디네이션과 등에서 패션관련 기본이론과 현장실무를 함께 배울 수 있다. 특히 전문대학 패션코디네이션과에서는 패션코디네이션 기초, 스타일메이킹, 패션드로잉, 색채실습, 메이크업, 패션디자인, 코디네이션스타일링, 패션아트, 메이크업응용, 패션&악세서리 등을 배운다.

  • 직업 훈련

    사설학원 및 민간 교육기관에서 패션코디네이터가 되기 위한 교육과 훈련을 받을 수 있다.

  • 관련 자격증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컬러리스트산업기사, 패션머천다이징산업기사와 (사)한국직업연구진흥원에서 시행하는 패션 스타일리스트(Fashion Stylist), 샵마스터(Shapmaster) 등의 자격증이 있다.

문의기관

한국패션협회 http://www.koreafashion.org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