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공학분야(숙련직)

종이제품생산직(기계조작)

평균연봉 : 3416↑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보통미만 고용평등 : 보통미만

유사직업명

골판지상자제조원, 봉투제조기조작원, 종이컵제조기조작원

하는일

종이제품생산직(기계조작)은 종이가방, 상자, 종이컵 등의 종이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각종 기계를 조작하는 일을 담당한다.

작업명세서를 통해 제작할 종이제품을 확인하고, 필요한 재료와 장비 등을 준비한다.

종이봉투, 종이컵 등의 제품을 만드는 기계를 조작하여 제품을 생산하며, 정기적으로 기계를 점검하고 정비한다.

적성 및 흥미

종이제품 제작기계 및 장치를 활용하고 필요시에는 정비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종이제품제작 과정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현실형과 예술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혁신, 독립성, 리더십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공학분야(숙련직)
표준직업분류 8914종이제품 생산기 조작원
고용직업분류 8823종이제품 생산기계 조작원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공채나 교육기관의 소개 등을 통해 펄프가공회사, 제지가공회사 등에 채용될 수 있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종이제품생산직(기계조작)과 관련 직업인 종이제품생산기조작원의 고용은 현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5~2025」(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2015년 종이제품생산기조작원은 21천명으로 향후 5년간(2015-2020) 1천명 정도 수준에서, 그리고 그 이후에는(2020-2025) 일자리 증가가 없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판지제지업이 포함된 제지산업은 이미 성숙기에 들어서서 신규 일자리 창출이 쉽지 않다. 온라인 쇼핑 및 택배시장의 확대로 골판지 분야에서 긍정적인 면도 있지만 인건비 상승과 공장 자동화로 인력수요 전망도 밝지 못한 편이다. 중국, 동남아 등 개발도상국들의 저가공세 또한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단, 개도국의 경우 높은 경제성장이 기대되고 인구대비 종이, 판지 소비수준이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이어서 수요확대 여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종이제품생산직(기계조작)과 관련 직업인 종이제품생산기조작원의 임금수준은 하위(25%) 2841만원, 평균(50%) 3415.907만원, 상위(25%) 4364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종이제품생산직(기계조작)이 되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이 요구된다.

  • 직업 훈련

    취업 후, 숙련공을 보조하면서 관련 기능을 습득할 수 있다.

  • 관련 자격증

    종이제품생산직(기계조작)이 되기 위해 요구되는 국가공인자격증은 없다.

문의기관

한국제지연합회 http://www.paper.or.kr
한국제지공업협동조합 http://www.paperworld.or.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