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공학분야(숙련직)

전자 부품 및 제품 생산직

평균연봉 : 3307↑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좋음 고용평등 : 매우좋음

유사직업명

전자축전기제조기조작원, 브라운관제조용장비조작원, 웨이퍼제조기조작원, 집적회로제조기 조작원, 인쇄회로기판제조기 조작원, 반도체리드 코딩원, 반도체 코딩원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전기공학과 , 전기과 , 전기전자공학과 , 전자공학과 , 전자과
관련자격
전기산업기사, 전자기기기능사, 전자산업기사, 전자기사, 전자기기기능장, 전자응용기술사, 전기계측제어사

하는일

전자 부품 및 제품 생산직은 전자장비에 사용되는 부분품을 제조하는 장치를 조작하고 생산과정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이에 대한 제반사항을 관리한다.

자재부서로부터 자재를 수령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작업지시서, 부품목록 등을 숙지하며, 프로그램을 기계에 입력하고 전자부품자재를 제품모델에 맞게 기계에 장착한다.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될 전자부품의 첫 좌표를 설정하고 프로그램에 입력된 삽입위치의 파일을 보며 부품이 삽입되도록 작동시킨다.

작업 중 전자부품 자재를 수시로 확인하여 교체하고 기계의 작동상태를 관찰한다.

삽입된 전자부품을 관찰하여 역삽, 오삽, 미삽 등을 검사하고 양호하면 연속작업을 실시한다.

작업 완료된 인쇄회로기판을 차기공정으로 넘기고 작업일지를 작성한다.

적성 및 흥미

전자 부품 및 제품 생산직은 전기전자기계에 대한 이론을 이해하고 디지털화에 따른 지식과 분석적 사고 능력, 수리능력이 요구된다.

세밀하고 정밀한 작업이기에 꼼꼼한 성격을 가진 사람에게 유리하며 끈기가 있어야 한다. 또 직업의식에 따른 책임감이 필요하다.

탐구형과 현실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꼼꼼함, 협조심, 신뢰성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공학분야(숙련직)
표준직업분류 8632전자 부품 및 제품 제조 기계 조작원
고용직업분류 8352전자 부품·제품 생산기계 조작원

취업현황

  • 고용현황

    전자 부품 및 제품 생산직의 종사자 수는 102,000명이며, 향후 10년간 고용은 연평균 0.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자료: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다만 국내 인건비의 상승으로 인건비 절감과 새로운 판매시장 확보를 위해 기업의 생산시설 해외이전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생산시설의 로봇자동화와 대형화로 필요한 생산인력이 많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전자 부품 및 제품 생산직의 인력수요는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 임금수준

    전자 부품 및 제품 생산직의 평균연봉(중위값)은 3307만원이다(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전자 부품 및 제품 생산직이 되기 위해서는 고졸이상이나 전문대학에서 전자공학과, 전기공학과, 통신공학과 등을 졸업하면 유리하다.

  • 직업 훈련

    공업계 고등학교나 직업훈련기관에서 전자제품제조장치조작원이 되기 위한 직업훈련교육을 받을 수 있다.

  • 관련 자격증

    관련 국가자격증으로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전자기사, 전자기기기능장, 전자계산기기사가 있다.

문의기관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http://www.gokea.org/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