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공학분야(숙련직)

전기 부품 및 제품 생산직

평균연봉 : 3690↑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좋음 고용평등 : 매우좋음

유사직업명

코일권선기 조작원, 필라멘트권선기 조작원, 건전지제조기 조작원, 광섬유 제조원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자격
전기산업기사

하는일

전기 부품 및 제품 생산직은 건전지, 전동기, 발전기 등 전기 장비에 사용되는 부품을 제조하는 기계를 조작하여 생산과정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관리한다.

작업지시서 또는 명세서에 따라 생산할 전기 장비에 사용되는 부품에 대해 파악하고, 필요한 재료들을 준비하여 전기제품의 생산과 관련된 기계 및 장치를 조작한다.

성형된 건조 충전전지 격자를 세척, 약품처리, 건조처리하는 장비를 관리한다.

완성된 부품들의 품질과 결함 사항들을 검사, 확인하고, 전기제품의 생산과 관련된 기계 및 장치를 정기적으로 점검한다.

적성 및 흥미

전기와 기계에 대한 기본적 이해와 지식이 요구되며, 장시간 서서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신체적으로 건강해야 한다.

기계설비와 작동상태의 문제가 발생시 신속하게 대처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현실형과 탐구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혁신, 리더십, 협조심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공학분야(숙련직)
표준직업분류 8631전기 부품 및 제품 제조 기계 조작원
고용직업분류 8351전기 부품·제품 생산기계 조작원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공채나 특채를 통해 한국전력이나 한국수자원공사 산하의 각종 발전소, 전기통신공사 및 일반제조업체 등 비상전력설비가 있는 업체의 발전부서에 채용될 수 있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전기 부품 및 제품 생산직과 관련 직업인 전기부품 및 제품제조기계조작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몇 년간 생산시설의 로봇자동화와 대형화로 생산인력이 많이 감소하였다. 더욱이 근래에는 기계설비 및 장비가 자동으로 고장을 알리고 그 부위까지 표시할 정도로 기술이 발전되면서 전기부품 및 제품제조기계조작원의 업무량이 더욱 줄어들었다. 또한 인건비 절감과 판매시장 확보를 위해 생산시설을 중국 등 해외로 이전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고 중국이나 동남아 국가의 저가 수입품이 들어옴으로써 국내 노동인력의 감축은 더욱 커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청년층들이 단순한 제품조립 및 기계조작 직무인 이 분야의 취업을 기피하고 그 자리를 저임금의 외국인 노동자들이 차지하면서, 이 분야로 취업하고자 하는 국내 구직자들은 오히려 취업이 어려워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 분야에 취업을 희망한다면 전기 및 기계에 관련하여 자격증을 취득하고 현장 경력을 쌓을 필요가 있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전기 부품 및 제품 생산직과 관련 직업인 전기부품 및 제품제조기계조작원의 임금수준은 하위(25%) 3273만원, 평균(50%) 3690.338만원, 상위(25%) 4323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전기 부품 및 제품 생산직이 되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이 요구된다.

  • 관련 자격증

    관련 국가자격증으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전기산업기사가 있다.

문의기관

한국전기공사협회 http://www.keca.or.kr
대한전기협회 http://www.kea.kr
대한건축사협회 http://www.kira.or.kr
한국전기기술인협회 http://www.keea.or.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