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과학분야(전문직)

전문의사 사진

평균연봉 : 9915↑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매우좋음 고용평등 : 매우좋음

핵심능력

언어능력, 수리논리력, 대인관계능력

유사직업명

의사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의예과
관련자격
의사, 전문의

하는일

전문의사는 환자가 가진 병의 원인을 찾아내어 치료하고 예방하는 일과 손상된 신체를 복구하고 재활시켜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환자의 질병, 장애에 대한 처방, 치료의 범위 및 방법을 결정하기 위하여 의료검사, 시험 및 진단을 통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하고 치료의 종류와 순서를 결정한다.

진단 및 치료를 위하여 내외과적 기구 및 장비를 사용하고 처방된 치료와 건강상의 유의점을 환자에게 알려준다.

의학실험과 수술을 수행하고 특수기술 및 장비를 이용하여 환자를 치료한다.

투약을 비롯한 각종 치료행위를 처방 지시하고 환자들에게 식사, 질병예방 등에 관해 조언한다.

수련병원에 근무하는 전문의사는 인턴, 전공의 등 수련의사를 교육한다.

전공에 따라 총 26과의 전문 분야로 나뉜다.

적성 및 흥미

전문의사는 진단을 내리기 위한 논리적 분석 능력이 필요하며, 위급한 환자에 대한 빠른 판단력과 치료 결과를 의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분석력이 요구된다.

투철한 사명감과 성실함이 필요하며 환자에 대한 세심한 배려가 요구된다. 일의 특성상 생명을 다루기 때문에 책임감이 필요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과학분야(전문직)
표준직업분류 2411전문 의사
고용직업분류 3011전문 의사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전문의 자격을 취득한 뒤에 종합병원의 전임의(펠로우)로 일하거나, 병원, 의원 등에서 일할 수 있다.
    의원을 개업하여 병원을 운영하기도 한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지역 사회 보건소 등 공공 분야에서 국민의 건강 증진과 보호를 위해 보건행정 분야에서 일하기도 한다.
    NGO, 언론계, 의료계와 관련된 사업분야에서도 의사가 가진 의과학 지식과 훈련경험을 활용해 일하기도 한다.

  • 고용현황

    향후 10년간 전문의사와 관련 직업인 내과의사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의사는 2013년 90,710명으로 2008년 대비 20% 증가하였다. 전국 36개 의대(의학전문대학원)졸업 후 신규로 약 3,000명 의사면허를 취득하여 전체 의사면허 취득자는 2004년 81,998명에서 2012년 107,295명으로 31% 증가하였다. 소득상승, 의료기술 발달, 인구 고령화, 건강/생명중시 의식개선, 건강보험 발전 등이 우리나라 의료서비스 수요 및 의사수요를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이다. 의료기술의 발달로 정복되는 질병의 폭이 넓어지고 있고, 인구고령화로 의료서비스에 의존하는 인구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과거 육체적 질병 치료위주에서 예방, 내면 심리치료, 외모 충족욕구, 재활 등의 사전 예방적이고 포괄적인 의료서비스 수요가 증대되어 의사수요도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이다. 향후 의료수요와 관련해 가장 큰 변화는 우리나라가 2018년 고령사회(65세 이상 비중 14%이상)에 2026년 초고령사회(65세 이상 비중 20%이상)에 진입한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우리나라의 발달된 의료기술과 의료서비스 수준도 국내는 물론 한류문화와 함께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하는 해외로부터의 의료수요 및 의사수요를 증대시키는 촉진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로 입국하는 의료수요 뿐만 아니라 최근 우리나라 의료기술의 선진화로 국내 병원과 의사가 중국, 미국, 중앙아시아 및 중동 등 해외로 진출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전문의사와 관련 직업인 내과의사의 임금수준은 하위(25%) 8592만원, 평균(50%) 9914.723만원, 상위(25%) 11208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대학의 의예과에 입학하여, 의예과(2년), 의학과(4년)를 졸업하면 의사 국가고시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국가고시에 합격하면 의사면허증이 나오고 의사가 된다.
    비의과대학을 졸업한 경우에는 4년 과정의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여 의무석사학위를 취득하여야 한다.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의학교육입문검사(MEET)에 응시해야 하며, 이외에 각 대학원별로 일부 교과목을 이수해야 하거나 평점, 외국어능력, 사회봉사 실적 및 면접 등의 경력이 요구된다.
    다른 전공으로 대학을 졸업한 뒤에 의과대학 본과 1학년으로 학사편입을 할 수도 있다. 대체로 의학전문대학원이 설치되지 않은 대학에 한해서 허용된다.

  • 관련 자격증

    전문의사가 되려면 의학과를 전공하고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시행하는 의사 및 의사실기 국가면허시험에 합격 한 후 보건복지부 장관으로부터 의사 면허를 발급받아야 한다. 의사 면허 취득 후 인턴 1년 과정을 마치고 자신의 전공에 따라 3~4년의 레지던트 과정을 마친 뒤에 전문의 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문의기관

대한의사협회 http://www.kma.org/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https://www.kuksiwon.or.kr/
대한병원협회 http://www.kha.or.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