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서비스(전문직)

전문비서 사진

평균연봉 : 3050↑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보통미만 고용평등 : 보통미만

유사직업명

비서

관련학과/관련자격

하는일

전문비서는 정치, 경제, 외교 산업의 각 분야에서 전문적인 행정 및 관리의 실무자로서 상사의 보좌역할을 수행한다.

상사에게 필요한 정보를 종합, 정리하여 필요한 부분만 상사에게 보고하며, 사내·외로부터 접수된 문서와 전화를 검토하고 보고한다.

회의 소집 연락을 하여 회의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준비하며 상사의 회의 참석 시 회의록을 작성하고 회의 내용을 요약한다.

대내·외 회의 및 행사에 대한 일정계획을 작성하고 계획에 차질이 없도록 조정한다.

소속기관에 따라 법률비서, 회계비서, 종교비서, 의료비서, 교육연구비서, 국회비서, 공공기관비서, 대사관비서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적성 및 흥미

사무절차를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학습능력과 뛰어난 기억력, 정확한 의사전달능력 등이 필요하다. 컴퓨터 활용 능력과 외국어 구사 능력도 있어야 한다.

상사 및 업무와 관련된 사항을 절대 외부에 유출해서는 안 되므로 철저한 직업정신, 책임감이 요구된다.

타인에 대한 배려, 신뢰감을 줄 수 있는 태도를 갖추어야 한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서비스(전문직)
표준직업분류 3141비서
고용직업분류 0294비서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국내외 일반기업이나 정부기관, 금융기관, 언론계 등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다. 채용은 일반적으로 공개채용 및 추천에 의해 이루어진다.
    일의 수행능력과 경력에 따라 비서실장, 비서팀장, 비서과장, 수행비서가 될 수 있다.
    중소기업과 같이 작은 기업의 비서는 자격증이 없어도 취업이 될 수 있지만, 대기업이나 대통령실 비서는 전문비서로 비서자격증이나 컴퓨터자격증, 외국어자격증이 있을수록 유리하다

  • 고용현황

    전문비서를 포함한 비서의 종사자 수는 23,000명이며, 향후 10년간 고용은 연평균 0.9%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자료: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다만 대부분 비서는 파견업체를 통해 계약직으로 입직하는 경우가 많고 직업수명이 짧기 때문에 이전직이 활발하여 전문비서를 포함한 비서의 고용은 현재 상태를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 임금수준

    전문비서의 평균연봉(중위값)은 3050만원이다(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전문비서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 졸업 이상의 학력이 요구된다. 특별한 전공의 제한은 없으나 비서학과, 비서행정학과 등을 전공하면 유리하다.
    관련학과에 진학하면 정보 및 사무관리에 대한 전문지식과 워드프로세서, 엑셀 등의 컴퓨터교육과 외국어교육 등을 체계적으로 받을 수 있다

  • 직업 훈련

    한국비서협회나 일부 대학의 사회교육원, 사설학원의 전문비서교육과정 등을 통해 전문비서가 되기 위한 교육훈련을 받기도 한다.

  • 관련 자격증

    관련 국가자격증으로는 고용노동부가 주관하고 대한상공회의소가 시행하는 비서(1, 2, 3급)가 있다.

문의기관

세계비서협회 http://www.iaap-hq.org/
대한상공회의소 http://www.korcham.net
한국비서협회 http://www.kaap.org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