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과학분야(전문직)

해양환경기사

평균연봉 : 4131↑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매우좋음 고용평등 : 보통미만

유사직업명

해양오염방제사, 해양환경연구원, 해양오염관리자, 해양오염방제사, 해양오염관리자, 해양환경연구원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해양공학과 , 해양자원학과
관련자격
해양환경기사, 해양자원개발기사, 해양공학기사, 해양조사산업기사, 수질환경산업기사, 수질환경기사

하는일

해양환경기사는 물리, 화학, 지질 및 해양생물학적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여 해양개발에 필요한 기초 조사 및 연구를 한다.

기름배출사고시, 배출의 방지 및 수거·처리와 배출된 기름의 확산 방지 및 제거 등의 조치를 취한다.

해수의 물성(수온, 압력, 염분), 해저 지각의 운동, 해저 퇴적물의 분포 및 특성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해양학적 자원을 개발한다.

해양환경에 대한 공학적 기술 이론 지식을 가지고 해양 구조물을 연구, 설계하고 해양 구조물의 시공을 감독한다.

적성 및 흥미

생물학, 지질학 등 자연과학 전반에 대한 지식과 바다 생명체 및 생명현상에 대한 관심과 세심한 관찰력이 요구된다.

해양환경에 대한 공학적 기술을 가지고 설계, 시공, 조사, 개발, 오염방제 등의 기술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요구에 맞도록 장비와 기술을 개발, 적용하는 기술설계능력과 분석능력이 요구된다.

문제해결을 위한 논리적 사고 및 분석력, 그리고 새로운 방법으로 문제해결을 시도할 수 있는 창의력이 요구된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과학분야(전문직)
표준직업분류 2131생명과학 시험원
고용직업분류 1553환경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관련자료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공채나 특채를 통해 중공업, 건설, 전력, 정유, 연안임해공단 환경관련회사, 해양 및 자원개발업체, 대륙붕개발, 해저석유개발 관련업체 및 관련연구기관에 채용될 수 있다.

  • 고용현황

    해양환경기사를 포함한 생명과학연구원의 종사자 수는 38,000명이며, 향후 10년간 고용은 연평균 2.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자료: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미세플라스틱 등 해양쓰레기가 해양생태계를 파괴하고 있어 범세계적 환경규제 강화와 환경의식의 급신장하고 있어 이를 위해 정부가 정책지원을 통해 예산을 투입하고 있으므로 해양화경기사에 대한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 임금수준

    해양환경기사의 평균연봉(중위값)은 4,131만원이다(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해양환경기사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이나 대학교의 해양 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것이 유리하다.

  • 관련 자격증

    관련 국가자격증으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수질환경기사 및 산업기사, 해양환경기사, 해양조사산업기사, 해양자원개발기사, 해양공학기사가 있다.

문의기관

국토교통부 http://molit.go.kr
한국해양수산연수원 http://www.seaman.or.kr/
국립해양조사원 http://www.khoa.go.kr
한국해양수산개발원 http://www.kmi.re.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