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공학분야(숙련직)

타이어 및 고무제품 생산직

평균연봉 : 3853↑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보통미만 고용평등 : 보통미만

유사직업명

가류성형기조작원, 고무압착기조작원, 고무절단원, 고무제품마무리원, 고무제품제조반장, 고무제품수선원, 그라인딩기조작원, 롤러조작원, 롤성형원, 바이어스절단원, 발포고무경화원, 밴드기계조작원, 벨트성형원, 비드제조원, 사열형압축롤조작원, 엽상기조작원, 유압성형기조작원, 재생타이어검사원, 재생타이어성형원, 침지기계조작원, 캘린더롤조작원, 타이어검사원, 타이어경화원, 타이어블래더제조원, 타이어사상원, 타이어성형원, 타이어수선원, 타이어제조반장, 호스제조원

관련학과/관련자격

하는일

타이어 및 고무제품 생산직은 타이어, 신발, 공업용 부속품 등 각종 고무제품을 제작하기 위해 원료와 여러 화학제품을 배합, 가공하는 제조기기 및 장치를 조작한다.

작업 지시서에 따라 필요한 고무 및 고무화합물을 준비하여 계량하고, 압출·성형된 고무부품을 작업대 위에 올려 놓는다.

부품의 제조상태를 점검하여 파손되거나 규격미달인 부품을 제거한다.

콘베이어벨트 또는 작업대위에 조립하기 쉽도록 고무부품을 나란히 늘어놓고, 손가락으로 부품을 눌러 주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홈이나 틀에 맞춘다.

고무제품제조기기를 조작하면서 기계장치의 온도, 압력, 속도 등을 조정하고, 완성된 고무제품의 품질과 기타 결함 여부를 검사한다.

적성 및 흥미

고무제조 과정과 고무원료 및 각종 화학 재료의 성분 등에 대한 지식과 이해가 요구된다.

생산 공정이나 장치에 문제발생시 문제의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문제해결능력이 요구된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공학분야(숙련직)
표준직업분류 8322타이어 및 고무제품 생산기 조작원
고용직업분류 8521타이어·고무제품 생산기계 조작원

관련자료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공채나 교육 기관의 소개 등을 통해 신발제조업체, 산업용 고무부품제조업체, 의료용 고무제품제조업체, 타이어제조업체 등에 채용될 수 있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타이어 및 고무제품 생산직과 관련 직업인 타이어 및 고무제품생산기조작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5~2025」(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2015년 타이어 및 고무제품 생산기조작원은 28천명으로 향후 5년간 2천명, 향후 10년 간 3천명(2015-2025)증가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2014년 말부터 본격화된 유가하락에 따른 상대적 경쟁력 상승은 긍정적이나 국내인건비 상승 및 물류비용 증가로 생산설비를 해외로 이전하거나 자동화를 추진하는 경향이 나타나 일자리 증가에 부정적이다. 또한 중국의 화학제품에 대한 자급률이 증가하고 중국 자체의 경제성장이 둔화되면서 시장감소로 이어져 우리나라의 수출에 악영향을 미치고 고용에 부정적으로 미칠 것으로 보인다. 타이어 및 고무제품은 자동차 타이어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어 향후 자동차산업의 전망은 밝지 않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타이어 및 고무제품 생산직과 관련 직업인 타이어 및 고무제품생산기조작원의 임금수준은 하위(25%) 3173만원, 평균(50%) 3853.219만원, 상위(25%) 5300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타이어 및 고무제품 생산직이 되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이 필요하다.

  • 직업 훈련

    취업 후 일정기간의 수습기간을 거쳐 제조공정에 관련된 제반업무 및 기능을 배우게 된다.

  • 관련 자격증

    타이어 및 고무제품 생산직이 되기 위해 요구되는 국가공인자격증은 없다.

문의기관

한국고무학회 http://www.rubber.or.kr
대한타이어산업협회 http://www.kotma.or.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