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공학분야(숙련직)

크레인 및 호이스트운전원

평균연봉 : 4675↑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보통미만 고용평등 : 보통미만

유사직업명

중장비기사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기계공학과 , 기계과 , 자동차공학과 , 자동차과 , 전기공학과 , 전기과 , 전기전자과
관련자격
기중기운전기능사,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하는일

크레인 및 호이스트운전원은 제품, 중간소재, 자재 등의 중량물을 필요한 위치와 목적에 따라 운반, 교환, 적재하기 위해 크레인 및 호이스트를 운전한다.

작업 지시서에 따라 이동시킬 물품의 종류와 위치를 확인하고, 신호수와 통신 상태를 확인한다.

작업장 주위의 상태, 주변 시설물 등을 고려하여 신호수의 신호에 따라 작업물을 들어올린다.

운반물의 고정 상태를 확인한 후 작업 목적에 따라 상승·회전·이동·하강시켜 작업물을 이동시킨다.

작업 중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계의 수평상태를 항시 확인하고 정차시킨다.

적성 및 흥미

크레인 및 호이스트운전원은 공간 판단력, 손발의 협응 능력 등이 요구되며 기계나 장비를 잘 다루고 정비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정교한 손놀림과 건강한 신체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성실함과 책임감을 갖추어야 한다.

현실형과 탐구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독립성, 인내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공학분야(숙련직)
표준직업분류 8740물품 이동 장비 조작원
고용직업분류 6230물품이동장비 조작원(크레인·호이스트·지게차)

관련자료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크레인 및 호이스트운전원이 되려면 기중기운전기능사,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등의 건설기계조종사면허를 취득해야 한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크레인 및 호이스트운전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전망이다. 건설 경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크레인 및 기중기는 건설 현장 및 물류센터 등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건설 수주 및 화물 물류량에 따라 영향을 크게 받는다. 국내 건설수주는 2008년 1,039,068억 원 이후 감소세를 지속하여 2013년 778,847억 원으로 감소한 뒤 2015년에는 저금리와 주택경기 회복세로 인해 역대 최고치인 1,343,377억 원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의 「향후 국내 건설경기 하락 가능성」(이홍일·박철한, 2016)에 따르면, 국내 건설경기는 2017년 하반기부터 하락하여 2018년 이후에 큰 폭으로 침체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정부는 급증하는 가계부채 증가세를 억제하기 위해 신규 분양물량을 조절할 것이라는 내용을 담은 정책방안을 발표한 바 있어 신규주택 건설이 감소할 전망이다. 그리고 정부의 2016년 SOC 관련 예산은 20조 7천억 원으로 2015년 본예산 대비 9,917억 원 감소한 것처럼 정부의 SOC에 관련 예산을 점차 감소할 전망이어서 건설경기의 전망은 밝지 않다. 한편, 국토교통부,대한건설정책연구원(2015)에서 발간한 「건설기계 수급정책 연구」에 따르면, 향후 5년간 기중기의 수요는 2015년 9,296대에서 2019년 9,703대로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나, 기중기운전원의 인력증가폭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크레인 및 호이스트운전원의 임금수준은 하위(25%) 3988만원, 평균(50%) 4674.527만원, 상위(25%) 5609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크레인 및 호이스트운전원이 되기 위해서 요구되는 학력수준은 없으나 공업계 고등학교 중기과, 중기정비과, 중장비과 등 자동차 관련과를 졸업하면 유리하다.

  • 직업 훈련

    직업전문학교나 사설학원에서 기중기운전, 천장기중기운전, 양화장치조종 훈련과정을 이수할 수 있다.

  • 관련 자격증

    관련자격증으로는 타워크레인운전기능사, 기중기운전기능사,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등이 있다.

문의기관

대한건설기계안전관리원 http://www.kcesi.or.kr
대한건설기계협회 http://www.kcea.or.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