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공학분야(전문직)

컴퓨터하드웨어 기술자 및 연구원

평균연봉 : 4082↑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매우좋음 고용평등 : 보통미만

유사직업명

컴퓨터네트워크장비개발자, 컴퓨터기기개발원, 컴퓨터메인보드개발원, 컴퓨터하드웨어설계기술자, 컴퓨터 제어시스템개발원, 콘트롤러개발원, 시스템엔지니어, 컴퓨터프로그래머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전기자동화과 , 컴퓨터공학과 , 컴퓨터과학과 , 컴퓨터소프트웨어과 , 컴퓨터응용기계과
관련자격
정보통신산업기사, 정보통신기사, 정보통신기술사, 컴퓨터 활용능력 3급, 컴퓨터 활용능력 2급,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

하는일

컴퓨터하드웨어 기술자 및 연구원은 컴퓨터 시스템과 주변기기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컴퓨터 하드웨어 시스템을 설계하고 실제 생산에 필요한 기술을 지원한다.

컴퓨터본체,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주변기기, 네트워크장비, 메모리반도체, 비메모리반도체, 사운드칩, 그래픽칩등을 설계·개발하고, 생산을 관리한다. 그 중에서도 반도체 공학기술자는 반도체를 설계하고 생산 공정을 연구한다.

컴퓨터와 관련장비의 설치·설비·변경 및 기타 작업을 감독하고 검사하며 제도사, 기술자 및 기타 엔지니어를 관리한다.

적성 및 흥미

컴퓨터하드웨어 기술자 및 연구원은 논리적이고 분석적 사고능력이 필요하며 창의적인 사고와 종합적인 판단력이 요구된다.

하드웨어 개발 및 제품생산 단계에서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원인을 찾아 해결하는 끈기가 필요하며, 여러 명이 팀을 이루어 제품을 개발하기 때문에 협동심과 원만한 대인관계가 요구된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공학분야(전문직)
표준직업분류 2211컴퓨터 하드웨어 기술자 및 연구원
고용직업분류 1311컴퓨터 하드웨어 기술자 및 연구원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컴퓨터하드웨어 기술자 및 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 및 대학교, 대학원에서 전자공학, 정보통신공학, 전파통신공학, 컴퓨터정보통신공학 등을 전공하여 진출한다.
    공채나 상시채용을 통해 컴퓨터생산업체나 반도체생산업체, 컴퓨터 유지보수업체, 정보통신업체, 전자제품업체, 연구소, 벤처기업 연구소나 개발업체 등으로 진출한다.
    연구·개발업무분야에 입사할 경우 석사 학위 이상의 학력이 요구된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컴퓨터하드웨어 기술자 및 연구원과 관련 직업인 컴퓨터하드웨어기술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PC산업은 모바일과 클라우드 컴퓨팅의 확대로 도전받고 있다. 데스크톱 PC보다는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패드 등 휴대하기 편리한 이동기기(mobile device)가 선호되고 있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와 일정한 요금만 지급하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컴퓨팅이 가능한 클라우드 컴퓨팅 중심으로 시장이 재편되고 있다. 이를 미국 경제 잡지인 은 “클라우드 컴퓨팅의 발달로 컴퓨터는 사망 선고를 받게 되지만, 결국 디지털 라이프는 더욱 풍부해질 것이다”라고 언급하고 있다. 다만, 현재 IoT, 로봇, 드론 등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IT기술이 크게 각광을 받고 있는데, 이러한 기술을 구성하는 요소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센서, 액추에이터, 통신모듈 등을 가지는 디바이스이므로 컴퓨터하드웨어기술자의 수요는 어느정도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조사 자료에 의하면 2014년 기준 컴퓨터 제조업 관련 사업체는 245개소로 2008년 107개소에 비해 138개소 증가하였지만, 해당 산업의 종사자는 2012년 2,946명을 정점으로 2013년 2,076명, 2014년 2,323명으로 오르락내리락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인터넷이용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컴퓨터 보유율은 2012년 82.3%를 정점으로 하향 추세에 있는데, 2015년 기준 77.1%로 전년도 78.2%보다 -1.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향후 신규 PC에 대한 수요는 감소하고 있으며, 고객의 눈높이가 편리성을 강조한 노트북이나 태블릿 등 휴대가 간편한 제품으로 이동하고 있는 추세임을 알 수 있다. 한편, 향후 PC 수요를 일부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은 향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IDC에 따르면, 국내 클라우드 환경에 도입되는 스토리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모두 포함하는 스토리지 솔루션 수요가 2018년까지 연평균 10.6%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중 공공부문은 2018년까지 연평균 8.2%씩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민간 민간부문은 상대적으로 높은 연평균 11.8%의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했다. 가상화 기술에 기초한 클라우드 컴퓨팅의 발전으로 데스크톱 PC의 수요는 전반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국내 컴퓨터 하드웨어 생산업체의 해외이전, 컴퓨터제조업체 아웃소싱 증가 등은 고용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사물인터넷과 웨어러블 컴퓨팅을 활용한 주변기기의 수요 증가는 고용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상황을 종합하면 향후 컴퓨터하드웨어기술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컴퓨터하드웨어 기술자 및 연구원과 관련 직업인 컴퓨터하드웨어기술자의 임금수준은 하위(25%) 3194만원, 평균(50%) 3895.826만원, 상위(25%) 5365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컴퓨터하드웨어 기술자 및 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 및 대학교, 대학원에서 전자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전파통신공학과, 컴퓨터정보통신공학과 등을 졸업하면 유리하다.
    대학교 컴퓨터공학과에서는 시스템의 분석 및 설계로부터 시스템 운영을 위한 소프트웨어 및 멀티미디어 기반 엔터테인먼트와 초고속 통신망 구성에 이르기까지 컴퓨터 전반에 걸친 종합적인 학문을 배운다.

  • 직업 훈련

    일반교육훈련기관에서 컴퓨터하드웨어 기술자 및 연구원이 되기 위한 교육과정을 받을 수 있다.

  • 관련 자격증

    관련 국가자격증으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정보통신기사 및 기술사, 정보통신산업기사가 있다.

문의기관

대한상공회의소 http://www.korcham.net
한국정보기술연구원 http://www.kitri.re.kr
IT종합정보데이터베이스 http://itfind.or.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