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서비스(전문직)

행정부고위공무원

평균연봉 : 8872↑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보통미만 고용평등 : 좋음

유사직업명

국회의원, 지방의회의원, 외교관

관련학과/관련자격

하는일

행정부고위공무원은 정부의 정책을 결정하고 예산 및 법령안을 작성ㆍ수정하며, 외국에서 국가를 대표ㆍ대리한다.

정부의 정책을 결정하고 예산 및 법령안을 작성, 수정하며 정부부처의 법령을 해석하고 적용한다.

정책수행을 기획, 조직 및 통제하고 외국에서 국가를 대표ㆍ대리한다.

정부부처의 관련 행정업무를 기획, 지휘, 조정한다.

각급 지방자치단체의 구역, 조직 및 행정관리, 주민복지증진, 산업진흥과 지역개발 및 주민생활 환경의 설치, 관리 등 지방행정 분야의 정책수행을 기획, 조직 및 통제한다.

적성 및 흥미

행정부고위공무원은 인적자원 관리능력과 조직체계의 분석 및 평가능력이 요구되며, 법률, 규정과 경영 및 관리에 관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부처 간 행정업무를 기획, 지휘, 조정할 수 있는 협조능력과 리더십이 필요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서비스(전문직)
표준직업분류 1110의회 의원·고위 공무원 및 공공단체 임원
고용직업분류 0111의회의원·고위공무원 및 공공단체임원

관련자료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고위공무원은 행정기관 국장급(3급) 이상 공무원으로, 행정부의 고위공무원이 될 수 있는 방법은 국가공무원시험에 합격(5급 공채, 7급 공채, 9급 공채)하여 승진경로를 밟거나 행정부 개방경쟁채용에서 임용되는 방법이 있다.

    공개모집직위는 각 부처 장관은 소속에 관계없이 현재 공무원인 고위공무원단 중에서 적임자를 임용할 수 있다.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고위공무원을 뽑는 것으로 행정부 어느 부처에든 지원하여 고위공무원으로 갈 수 있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고위공무원의 일자리는 현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고위공무원은 행정관리에 대한 폭넓은 시야를 가진 전문가로 대통령, 국무총리, 장·차관, 1급 이상 공무원, 중앙정부 고위공무원(3급 이상), 지방정부 고위공무원(기관장), 시도지사(부시장, 부지사), 군수(부군수), 구청장(부구청장) 등을 말한다. 중앙정부나 지자체 조직의 직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작은 정부를 지향하는 분위기에 따라 일자리 증가를 크게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일자리 규모는 행정부의 담당 부서에 큰 변화가 없는 한 현상태를 유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행정부고위공무원의 임금수준은 하위(25%) 8400만원, 평균(50%) 8871.852만원, 상위(25%) 9964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행정부 고위공무원이 되기 위해서 전문대학 및 대학교에서 행정학, 법학, 경영학, 회계학, 경제학 등을 전공하면 시험 대비에 유리하다.

  • 직업 훈련

    일반 사설학원을 다니거나 독학으로 시험을 준비할 수 있다.

  • 관련 자격증

    행정부 고위공무원이 되기 위한 국가공인자격은 없다.

문의기관

한국행정연구원 http://www.kipa.re.kr
한국지방행정연구원 http://www.krila.re.kr
행정안전부 http://www.moi.go.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