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과학분야(전문직)

수학연구원

평균연봉 : 4877↑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매우좋음 고용평등 : 매우좋음

핵심능력

창의력, 언어능력, 수리논리력

유사직업명

순수수학자, 응용수학자, 수학자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수학과 , 통계학과

하는일

수학연구원은 수학적 지식과 이론을 발전시키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며 수학적 이론과 기법을 활용하여 경제학, 과학, 공학, 물리학 등의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한다.

대수학, 기하학, 확률과 같은 전통적인 수학분야와 자연과학, 엔지니어링, 컴퓨터공학이나 연산연구, 사업이나 경영과 같은 기타분야의 문제해결을 위한 논리학 및 응용수학기술과 같은 분야에서 수학적 지식을 확장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한다.

수학은 크게 순수수학과 응용수학으로 나뉘며, 순수수학연구원은 자연현상을 관찰해 얻어진 일반적인 생각을 논리적 모순이 없는 하나의 수학적 모형으로 형성한 다음 그 모형을 분석하여 이론을 개발한다.

응용수학연구원은 순수수학 연구를 통해 얻어진 수학적 모형을 암호학, 컴퓨터 공학이나 연산연구, 엔지니어링, 금융 수학 등에 적용하는 과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적성 및 흥미

새로운 것에 대한 탐구정신과 호기심이 요구된다.

수학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수학 공식 및 수학적 지식을 이해하여 실제에 응용적용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문제해결을 위한 논리적 사고 및 분석력, 그리고 새로운 방법으로 문제해결을 시도할 수 있는 창의력이 필요하다.

탐구형과 관습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분석적 사고, 꼼꼼함, 신뢰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과학분야(전문직)
표준직업분류 2112자연과학 연구원
고용직업분류 1211자연과학 연구원

관련자료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공채나 특채를 통해 국내외 대학의 교수와 연구원 또는 기업체의 전산실, 금융기관 등에 채용될 수 있다.
    수학 관련학과에 진학하여 석사 학위 이상의 학력이 요구된다. 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석사과정 중에 수행하는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며, 연구보조원(RA), 인턴연구원이나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수생 프로그램(석·박사과정 학연 연구생)의 참여경험은 취업 시 유리하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수학연구원과 관련 직업인 수학 및 통계연구원의 고용은 증가할 것이다. 사람과 사물이 초연결되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핵심을 이루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품과 서비스, 비즈니스에 접목할 수 있는 인력에 대한 수요는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관련 부처에서도 국내 최고 수준의 데이터과학자와 빅데이터 인력을 육성하기 위해 대학에 융합프로그램을 신설하고, 고용계약형 석사과정을 도입하는 등 데이터분석과 관련된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데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 4차산업혁명과 관련하여 인공지능, 로봇, 핀테크 등의 분야와 더불어 빅데이터 산업에 대한 투자와 비지니스가 활발해지고 있으므로 향후 수학 및 통계연구원의 고용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수학연구원과 관련 직업인 수학 및 통계연구원의 임금수준은 하위(25%) 3859만원, 평균(50%) 4877.037만원, 상위(25%) 5960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수학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대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원에 진학하여 수학 관련 분야의 석사 또는 박사 학위를 취득하는 것이 유리하다.

  • 직업 훈련

    수학연구원이 되기 위해 요구되는 별도의 직업훈련과정은 없다.

  • 관련 자격증

    수학연구원이 되기 위해 요구되는 국가공인자격증은 없다.

문의기관

교육부 http://www.moe.go.kr/
대한수학회 http://www.kms.or.kr
수리과학연구정보센터 http://www.mathnet.or.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