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공학분야(숙련직)

전통건축원

평균연봉 : 4178↑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보통미만 고용평등 : 보통미만

핵심능력

손재능, 공간시각능력

유사직업명

전통건물건축원, 사찰건축원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건축공학과 , 건축과 , 건축학과
관련자격
문화재수리기능자, 문화재수리기술자

하는일

전통건축원은 전통 건축기법을 이용하여 한옥, 사원, 궁궐 등의 전통건축물을 설계하고 시공하는 일을 한다.

전통 한식건축물을 신축하거나 보수할 때, 건축물의 설계도를 해석하고 전통한식기법을 이용하여 한옥, 사원, 궁궐 등의 전통창호와 가구를 제작한다.

목조건물을 세우기 위해 나무를 깎고 다듬으며, 기울어진 목조건조물과 석조건조물을 바로잡거나 전통한식 건조물의 기와를 잇거나 보수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적성 및 흥미

한식건물의 역사와 인문학적 배경, 전통건축의 구조와 구성기법, 목조건물의 역학적 해석 등에 대한 지식과 이해가 요구된다.

한국전통문화에 대한 애정과 존경심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꼼꼼하고 세심한 손재주가 필요하다.

예술형과 탐구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꼼꼼함, 인내, 성취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공학분야(숙련직)
표준직업분류 7824건축 목공
고용직업분류 7016건축 목공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공채나 특채, 개인적 소개를 통해 문화재 실측설계사무소 또는 건축문화재 전문 시공회사, 기술직 공무원, 대학 및 각종 연구소의 전통건축 분야 전문 인력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전통건축원과 관련 직업인 전통건물건축원의 고용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식목공을 비롯한 전통건물건축원의 고용은 문화재 예산과 전통건축 수요에 영향을 받는다. 문화재수리기술자는 2016년 1,794명으로 2013년 1,602명보다 약 190명이 증가하였고 2004년 920명에 비해서는 약 2배 증가하였다. 문화재수리기능자는 2016년 8,157명으로 2013년 6,988명보다 약 1,170명 증가하였고 2004년 3,557명에 비해서는 약 2.3배 증가하였다(문화재청, ‘문화재수리기술자·기능자 현황’, 2016.06.). 문화재관리 예산은 2016년 7,311억 원으로 2014년 6,199억원에 비해 1,100억원 증액되었고, 2004년 3,609억 원에 비해서는 약 2배 증가하였다. 지정·등록문화재 건수도 매년 증가하여 2008년 10,375건에서 2016년 6월 현재 13,275건으로 증가하였다(문화재청, 「주요업무 통계자료집」). 최근에는 일반인 중에서도 전통건축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서 한식으로 주택을 건축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향후 문화재 예산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전통건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전통건물건축원의 고용은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전통건축원과 관련 직업인 전통건물건축원의 임금수준은 하위(25%) 3541만원, 평균(50%) 4178만원, 상위(25%) 4776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전통건축원이 되기 위해 요구되는 학력의 제한은 없지만, 한국전통문화학교에서 전통건축에 대한 전문적 교육을 받을 수 있다.

  • 직업 훈련

    숙련기술자나 기능자의 보조원 또는 제자로 입직하여 전통건물의 시공 또는 보수 현장에서 직접 전통 건축에 대한 일을 배우는 경우가 많다.

  • 관련 자격증

    문화재의 수리 및 보수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문화재수리기능자와 문화재수리기술자의 자격증을 취득해야만 한다.

문의기관

문화재청 http://www.cha.go.kr
한국전통문화대학교 http://www.nuch.ac.kr/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 http://www.koca.go.kr
한국문화재재단 http://www.chf.or.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