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공학분야(전문직)

전자공학기술자

평균연봉 : 4835↑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매우좋음 고용평등 : 좋음

유사직업명

전자공학 기술자, 반도체 공학 기술자, 전자제어계측 기술자, 가전제품 개발자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전기과 , 전기전자공학과 , 전기전자과 , 전자공학과 , 전자과
관련자격
산업계측제어기술사, 전자산업기사, 전자기사, 전자기기기능장, 전자응용기술사, 전자계산기기사,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전자계산기제어산업기사, 반도체설계기사, 전자회로설계산업기사

하는일

전자공학기술자는 물리학 및 수학의 이론과 원리를 바탕으로 재료 속성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여 전자제품을 개발설계하고 생산관리 및 감독업무를 한다.

제품을 설계개발하기 위해서는 시장조사를 거쳐 소비자가 원하는 성능, 기능, 디자인 등의 의견수렴을 하고 경쟁업체 제품 및 세계 트렌드, 기술변화 등을 분석한 후 디자인 설계를 한다.

계획된 공사의 설계와 시공감독 및 조언을 담당하고 계측제어설비에 대한 정비계획을 수립·시행한다.

전산기 하드웨어 및 계측제어 설비의 사양을 검토·조정하고 신기술 도입 및 개발 방안을 연구한다.

제품의 모델을 만들어 성능에 이상은 없는지, 제대로 작동은 하는지, 진동이나 충격에 강한지 등을 테스트 한다.

기존의 생산시스템으로 제작이 가능한지를 점검하고 불량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적성 및 흥미

전자공학기술자는 새로운 기술과 기능을 제품으로 만들 수 있는 창의력, 분석적사고 능력이 필요하다. 또 전기전자와 관련된 이공계 관련 지식이 요구된다.

회로 등 정밀부품을 다루기 때문에 꼼꼼한 사람에게 유리하며 여러 명이 함께 작업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원만한 대인관계가 필요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공학분야(전문직)
표준직업분류 2342전자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고용직업분류 1532전자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가전제품 제조업체, 반도체생산업체, 전자의료기생산업체, 사무자동화생산업체, 기업체부설 연구소 등에서 일하며, 보통 공채를 통해 신입사원을 모집하고, 업체에서는 관련 분야의 경력자를 우대하여 특별 채용할 때도 있다.
    중소규모 업체의 경우 상시채용을 통해 인력을 모집하기도 한다.
    연구소 및 연구개발 분야로 진출할 경우, 관련전공 석사학위 이상의 자격을 갖추어야 채용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 고용현황

    전자공학기술자를 포함한 전자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의 종사자 수는 116,000명이며, 전기술발전이 너무 빠르게 변화하고 있어 새로운 기술에 대한 전문성을 가진 인력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전자공학기술자의 향후 10년간 고용은 연평균 1.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자료: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 임금수준

    전자공학기술자를 포함한 전자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의 평균연봉(중위값)은 4,835만원이다(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전자공학기술자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 및 대학교, 대학원에서 전자공학과, 전기공학과, 통신공학과 등을 졸업하면 유리하다. 전자공학 연구, 개발 분야에 종사할 경우 관련전공 석사학위 이상의 학력이 요구된다.
    전자공학기술자가 되기 위해서는 통신망, 멀티미디어 신호처리, 무선통신 등의 이론 지식과 실제적인 문제해결 능력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교육을 대학의 전자공학 관련 학과에서 배운다.

  • 직업 훈련

    사설 정보통신학원에서는 전자기사, 전자산업기사 등의 국가자격증 대비과정반을 개설운영하고 있어 관련교육을 받을 수 있다.

  • 관련 자격증

    관련 국가자격증으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시행하는 산업계측제어기술사, 전자응용기술사, 전자계산기기술사, 전자기기기능장, 반도체설계기사, 전자기사가 있다.

문의기관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http://www.gokea.or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http://www.etri.re.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