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공학분야(숙련직)

정밀기기제품제조원

평균연봉 : 3231↑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보통미만 고용평등 : 보통미만

핵심능력

손재능, 공간시각능력

유사직업명

무브먼트조립반장, 보철기제조원, 시계검사반장, 시계검사원, 시계수리원, 시계조립반장, 안경렌즈부착원, 의료영상진단기기제조반장, 의치모형제작원, 콘텍트렌즈성형원, 광학용품검사원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자격
광학기능사, 광학기사

하는일

정밀기기제품제조원은 각종 센서, 제어장치 등의 부품을 제작조립하여 현미경, 시계, 카메라 등 모양은 작지만 다양한 기능을 갖춘 기기들을 제조하는 일을 담당한다.

작업 지시서에 따라 센서, 제어장치 등의 부품들을 제작하고 조립하여 현미경, 카메라, 의료영상 기기 등의 제품을 생산한다.

정밀측정기구를 사용하여 부품의 품질, 완성된 제품의 조립 이상 유무 등을 검사한다.

적성 및 흥미

전자, 전기, 기계 분야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정밀기기 제품의 조립은 세밀하고 정확한 작업이 되어야 하므로 고도의 집중력과 꼼꼼함이 요구된다.

하루 종일 같은 작업이 반복되므로 끈기와 인내심, 강인한 체력이 필요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공학분야(숙련직)
표준직업분류 8640전기·전자 부품 및 제품 조립원
고용직업분류 8360전기·전자 부품·제품 조립원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공채나 교육기관 소개 등을 통해 의료·측정·시험 및 기타 정밀기기업체, 사진 및 광학기기업체, 시계제조업체 등에 채용될 수 있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정밀기기제품제조원과 관련 직업인 전자부품 및 제품제조기계조작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몇 년간 생산시설의 로봇자동화와 대형화로 생산인력이 많이 줄어들었다. 더욱이 근래에는 기계설비 및 장비가 자동으로 고장을 알리고 그 부위까지 표시할 정도로 기술 발전을 이룸으로써 전자부품 및 제품제조기계조작원의 업무량이 더욱 줄어들었다. 또한 인건비 절감과 판매시장 확보를 위해 생산시설을 중국 등 해외로 이전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 중국이나 동남아 국가의 저가 수입품이 들어옴으로써 국내 노동인력의 감축은 더욱 커졌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현상은 중소업체 혹은 저기술 전자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체에 주로 해당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반면, LCD TV나 LED TV, HDTV, 반도체, 핸드폰 등의 첨단전자제품을 생산하는 경쟁력 있는 기업체의 경우는 다소 일자리가 늘어날 수도 있다. 이들 제품은 세계적인 기술 및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한 전략산업으로서, 해당 기업체는 물론이고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정책적으로 지원을 아끼지 않는 분야이다. 따라서 생산시설의 증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이고 더불어 일자리도 다소 늘어날 것이다. 생산자동화와 공장 해외이전, 저기술 제품의 수입으로 일자리가 줄어드는 반면에 첨단기술 제품관련 일자리는 늘어날 것이므로 결국은 전자부품 및 제품제조기계조작원의 전체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나 다소 감소하는 정도가 될 것이다. 한편, 청년층들이 단순한 제품조립 및 기계조작 직무인 이 분야의 취업을 기피하고 그 자리를 저임금의 외국인 노동자들이 차지하면서, 이 분야로 취업하고자 하는 국내 구직자들은 오히려 취업이 어려워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취업희망자는 전기 및 기계에 관련하여 자격증을 취득하고 현장 경력을 쌓을 필요가 있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정밀기기제품제조원과 관련 직업인 전자부품 및 제품제조기계조작원의 임금수준은 하위(25%) 2851만원, 평균(50%) 3230.505만원, 상위(25%) 3896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정밀기기제품제조원이 되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이 요구된다.

  • 직업 훈련

    취업 후 자체 연수 또는 견습 과정을 통해 필요한 기능을 습득할 수 있다.

  • 관련 자격증

    관련 국가자격증으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광학기능사 및 기사가 있다.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