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소비자경제분야

전통식품제조원

평균연봉 : 3003↑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보통미만 고용평등 : 보통미만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식품영양과 , 식품영양학과 , 식품조리과 , 전통조리과 , 조리과학과
관련자격
한식조리기능사, 조리기능장

하는일

전통식품제조원은 우리나라의 고유음식인 떡, 한과, 간장, 된장, 김치 등을 만드는 일을 담당한다.

조리할 식품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재료를 준비하여 재료들을 세척하고, 조리방법에 따라 전통식품을 만든다.

완성된 식품을 포장하고, 주문한 고객에게 배달하거나 매장에 진열하여 판매한다.

적성 및 흥미

음식을 조리하는 일을 담당하기 때문에 맛에 대한 감각이 있어야 하며, 정교한 모양의 떡, 한과 등을 만들기 위한 손재주가 요구된다.

전통음식의 조리와 판매를 함께 담당하는 경우, 고객에 대한 서비스정신과 철저한 위생관념이 요구된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소비자경제분야
표준직업분류 7109기타 식품가공 관련 종사원
고용직업분류 8729기타 식품 가공 종사원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공채나 교육기관의 소개 등을 통해 떡이나 한과전문점, 식품제조업체 등에 채용되거나, 자신의 경험을 살려 창업하기도 한다.

  • 고용현황

    전통식품제조원을 포함한 떡제조원 종사자의 수는 38,000명이며,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전통식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어 향후 10년간 고용은 연평균 1.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자료: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그러나 국내 경기침체와 인건비, 임대료, 원재료비 등의 상승으로 영세업체의 폐업이 지속되고 있어 경기회복이 늦어진다면 전통식품제조원의 고용은 감소될 것으로 보인다(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 임금수준

    전통식품제조원을 포함한 떡제조원의 평균연봉(중위값)은 3,003만원이다(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전통식품제조원이 되기 위해 요구되는 학력의 제한은 없지만, 전문대학이나 대학교의 조리 관련 학과를 졸업하면 취업 시 유리할 수 있다.

  • 직업 훈련

    조리학원, 문화센터와 같은 사설교육기관에서 전통식품제조원이 되기 위한 필요한 교육과 훈련을 받을 수 있다.

  • 관련 자격증

    관련 국가자격증으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조리기능장, 조리산업기사가 있다.

문의기관

한국식품산업협회 http://www.kfia.or.kr/
한국장류협동조합 http://www.koreajang.or.kr/
한국전통음식연구소 http://www.kfr.or.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