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서비스(전문직)

병원코디네이터

평균연봉 : 2726↑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보통미만 고용평등 : 보통미만

핵심능력

언어능력, 대인관계능력

관련학과/관련자격

하는일

병원코디네이터는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환자 상담과 지속관리, 직원 친절 서비스 교육, 병원 이미지 개선을 위한 일을 한다.

전화, 메일 등으로 상담을 하고, 환자의 예약관리와 진료를 마친 환자에게 치료에 대한 설명과 주의점, 처방전 등을 안내한다.

환자의 고민이나 불만사항을 병원에 전달하고, 환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차별화된 서비스를 기획한다.

직원들의 서비스 교육을 담당하며 병원의 이미지 홍보를 위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한다.

고객 서비스 개선, 환자상담과 사후관리, 진료계획 수립, 병원 서비스 품질관리를 수행한다.

직원교육기획 및 지식경영관리, 내부고객 만족을 통한 고객 만족도를 제고한다.

원내 근무 분위기 조성, 접수ㆍ수납 및 병원의 약속관리, 밝은 병원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한 실내ㆍ외 환경조성 등을 담당한다.

적성 및 흥미

상황 판단력과 순발력이 필요하며, 상담, 심리 등에 관한 지식과 기본적인 의료 상식이 있어야 한다.

남에 대한 배려와 책임의식이 필요하며 긍정적이고 활달한 성격을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다.

고객 서비스 마인드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원만한 대인관계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관습형과 진취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리더십, 책임감, 사회성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서비스(전문직)
표준직업분류 4219기타 돌봄 및 보건 서비스 종사원
고용직업분류 3079기타 보건·의료 종사원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취업 시 병원에서의 실무경험이 있으면 유리하며, 채용은 수시모집으로 이루어지며. 서류전형, 면접 등을 전형을 통해 채용된다. 주로 병원코디네이터과정 수료자 또는 관련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하는 경우가 많다.

    공채나 개인적인 소개, 추천을 통해 병원이나 치과병원, 한의원 등으로 진출한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병원코디네이터와 관련 직업인 의료코디네이터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병원간 경쟁이 심하여 고객을 유치하고 고객에 대한 서비스를 강화하려는 노력이 지속될 것이다. 병원에서 고객 중심의 서비스 제공과 병원 경영의 차별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의료코디네이터를 두는 병원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병원코디네이터와 관련 직업인 의료코디네이터의 임금수준은 하위(25%) 2412만원, 평균(50%) 2725.854만원, 상위(25%) 3809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병원코디네이터가 되기 위해서 특별한 자격요건이 있는 것은 아니나 의료보건관련학과 전공하면 유리하다.

  • 직업 훈련

    병원에서의 실무경험이 있으면 유리하고 사설학원이나 교육원에서 훈련을 받아 진출하기도 한다.

  • 관련 자격증

    국가공인자격증은 없으며, 민간자격증으로 대한병원코디네이터협회, 각 교육기관 및 사설학원에서 시행하는 병원코디네이터가 있다.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