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공학분야(전문직)

산업공학기술자 사진

평균연봉 : 0↑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매우좋음 고용평등 : 보통미만

핵심능력

공간시각능력, 수리논리력

유사직업명

생산관리기술자, OR(operation research) 전문가, 공장관리기술자, 물류전문가, 경영정보시스템전문가, 인간공학자, 품질관리기술자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기계공학과 , 기계설계공학과 , 산업공학과 , 전기공학과 , 전기전자공학과
관련자격
산업안전산업기사, 산업안전기사, 산업안전지도사

하는일

산업공학기술자는 기업경영에 대하여 사회과학의 전문지식과 함께 자연과학과 원리를 응용하여 경영의 여러요소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조직적으로 조정한다.

플랜트 레이아웃 및 시설을 계획하고 설계하며 새로운 기계 및 설비를 연구하고 적용한다.

생산을 위한 최적의 수준을 결정하고 기계, 원자재 및 자원의 최적 활용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경영 기획, 기술 전략, 경영 정보 시스템 등과 같은 분야에서 회사에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분석하고 사업전략과 경영관리 방법을 모색한다.

적성 및 흥미

산업공학기술자는 각 산업조직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예리한 분석력, 논리적인 사고력, 종합적인 판단력이 필요하다.

사회과학에 관심이 많으면 유리하며, 수학적 능력, 컴퓨터 및 공학적 응용의 기초지식이 요구된다.

여러 사람들과 함께 근무하기 때문에 협동심, 자기통제력, 원만한 대인관계가 요구되며, 생산기술과 공정에 분석적이면서도 혁신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탐구형과 진취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리더십, 혁신, 분석적 사고가 필요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공학분야(전문직)
표준직업분류 2399기타 공학 관련 기술자 및 시험원
고용직업분류 1599기타 인쇄·목재 등 공학 기술자 및 시험원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공채나 특채를 통해 대기업(물류, 유통, 통신), 자동차, 제조업체, 정부 및 금융, 보건관리 및 기타 기관 등에서 일한다.
    연구개발 및 컨설팅분야에서는 자격증이 큰 영향을 받지 않지만, 일부 기업에서는 자격증을 요구할 수도 있으므로 자격증 취득은 취업에 유리하다.
    정보시스템 및 시스템통합(System Integration) 업체, 컨설팅 업체로도 진출할 수 있으며, 벤처기업의 기획, 전략, 관리담당이나 산업용 SW 솔루션 개발 전문 벤처업체로 진출할 수도 있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산업공학기술자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4차산업혁명의 도래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면서 산업공학기술자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 질 것으로보인다. 디지털화가 가속화되면서 제조업을 비롯하여 건설, 금융, 농업까지 산업전반에 정보통신기술(ICT)기술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정보시스템 및 솔루션 설계 및 개발, 컴퓨터비전 등 인공지능 분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해결책 제시, 안전과 위험 분야에서 이들의 역할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에서는 제조업의 경쟁력 강화차원에서 스마트공장 구축을 확산할 계획이다. 지능화된 공장 및 시설 구축이 확산되면 생산 및 품질관리를 비롯하여 자재, 품질, 물류 등 생산 및 제조분야에서 스마트화가 지속될 것이고 특히 생산공정에서 인간-기계 간의 인터페이스가 매우 중요하게 되어 UI/UX 기능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산업현장에서 근로자의 안전이 강조되고 설비의 자동화, 디지털화, 고도화 등으로 위험요소가 더욱 커지고 있어 작업장 설계 등 산업안전과 위험분야 및 설비, 장비, 부품의 적정한 교체 등 신뢰성공학분야에서도 산업공학기술자의 역할은 커질 것으로 보인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산업공학기술자의 임금수준은 하위(25%) 0만원, 평균(50%) 0만원, 상위(25%) 0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산업공학기술자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 및 대학교에서 산업공학과, 산업시스템공학과, 자동화공학과, 테크노경영공학과, 산업정보(공)학과, 안전공학과 등을 졸업하면 유리하다. 연구·개발 분야에 취업을 원할 경우 관련전공 석사이상의 학위를 취득하는 것이 유리하다.
    전문대학 및 대학교의 산업공학 등 관련학과에서 다양한 생산 및 서비스시스템을 대상으로 전략적 계획수립, 시스템의 체계화 및 최적화, 제품의 최적설계 및 품질향상 등에 대해 배운다.

  • 관련 자격증

    관련 국가자격증으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품질경영산업기사, 산업안전산업기사, 공장관리기술사, 품질경영기사, 산업안전기사가 있다.

문의기관

대한산업공학회 http://www.kiie.org
테크노경영연구정보센터 http://cimerr.postech.ac.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