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공학분야(숙련직)

상ㆍ하수도 처리장치 조작원

평균연봉 : 4420↑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매우좋음 고용평등 : 보통미만

유사직업명

상하수처리설비 운전원, 상수처리설비운전원, 하수처리설비운전원, 폐수처리설비운전원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화학공업과 , 환경공업과 , 환경과학과
관련자격
수질환경산업기사, 수질환경기사, 환경기능사

하는일

상ㆍ하수도 처리장치 조작원은 생활하수, 각종 폐수와 오수가 생활용수나 산업용수로 사용될 수 있도록 물 정화장치 등의 장비 및 기계를 조작하는 일을 한다.

물 정화장치, 공기 및 가스압축기, 펌프장치 등의 가동상태나 처리능력 등을 점검하고 투입하는 하수 및 각종 미생물의 수량을 조절한다.

하수의 유입구 및 부유물 제거장치의 가동상태를 확인하고 하수의 유입량을 점검한다.

수시로 하수 처리과정의 견본을 채취하여 처리물의 산도나 생화학적 산소요구량 등을 검사하고, 검사 결과에 따라 각종 기계의 가동 상태를 재조정한다.

물 정화장치, 공기 및 가스압축기, 펌프장치 등을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누수나 파손 등의 결함이 없는지 확인하고 수리한다.

적성 및 흥미

화학 및 생물 등 환경 공학과 관련된 지식 및 상수도 설비와 관련 시스템에 대한 지식과 이해가 요구된다.

실험 결과의 데이터 통계나 수치를 분석하고 해석할 수 있는 수리능력이 요구된다.

상수도 시설장비의 설치 및 수리에 필요한 도구들을 조작하고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탐구형과 현실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남에 대한 배려, 분석적 사고, 협조심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공학분야(숙련직)
표준직업분류 8810상하수도 처리 장치 조작원
고용직업분류 8531상·하수도 처리장치 조작원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공채나 특채 등을 통해 지방자치단체 정수사업소, 하수종말처리장, 폐수종말처리시설, 폐수수탁처리업체, 폐수배출업체 환경부서 등에 채용될 수 있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상하수도처리장치조작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전망이다. 범세계적 환경규제 강화와 환경의식의 급신장으로 환경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환경산업은 전형적인 선진국형 산업으로 선진국으로 갈수록 발전하는 산업이다. 국민의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삶의 질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수질 등 생활환경 및 환경보전에 대한 욕구가 상승하고 경제발전에 따라 폐기물의 증가, 수질 오염 악화가 증가한다. 이에 정부에서는 환경규제를 강화할 것으로 보여 환경산업 시장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환경규제 강화, 환경 및 안전에 강한 의식변화, 그리고 정부의 물산업 육성, 폐기물 재활용 강화 등과 맞물려 환경관련장치조작원의 고용은 긍정적이다. 기후변화 및 환경변화로 수질상태가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어 이에 따른 시설과 장비가 추가적으로 소요되고 있다. 또한 정부는 향후 2030년까지 매출 50조 원, 20만 명 규모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물산업을 집중육성하기로 하였다. 이에 따라 정수처리시설의 고도화 추진, 수도 산업 관련 특허기업과 인재양성, 해외지원 사업 및 해외 진출 확대가 예상된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상ㆍ하수도 처리장치 조작원의 임금수준은 하위(25%) 3570만원, 평균(50%) 4420.142만원, 상위(25%) 5301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상ㆍ하수도 처리장치 조작원이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의 환경ㆍ화학 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것이 유리하다.

  • 관련 자격증

    관련 자격증으로는 수질환경기사(산업기사), 환경기능사 등이 있다.

문의기관

한국환경기술인협회 http://www.keef.or.kr
한국환경수도연구원 http://www.kewi.re.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