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소비자경제분야

식품가공검사원

평균연봉 : 3305↑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보통미만 고용평등 : 보통미만

유사직업명

음식품검사원, 음식품등급원, 고기선별원, 담배등급원, 담배검사원, 채소선별원, 과실선별원

하는일

식품가공검사원은 식품을 생산하고 조리하는데 사용되는 원료와 최종 식품 생산품이 표준에 맞는지 검사하고 이에 대한 등급을 매기는 일을 담당한다.

각 식품 조리 및 생산 과정에 사용되는 원료의 외양, 맛, 냄새 등이 표준에 맞는지 검사한다.

최종 식품 생산품의 품질을 검사하고 이에 대한 등급을 매긴다.

적성 및 흥미

사람들의 먹거리와 직결되는 직업이므로 철저한 위생관념이 요구된다.

검사결과를 왜곡 없이 객관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도덕성과 진실성이 필요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소비자경제분야
표준직업분류 7104식품 및 담배 등급원
고용직업분류 8723식품·담배 등급원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구인공고나 교육기관의 추천 등을 통해 과실채소 가공업체, 낙농품 제조업체, 육가공업체, 음료제조업체 등에 채용될 수 있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식품가공검사원과 관련 직업인 식품시험원의 고용은 증가할 전망이다. 건강과 식품의 유해성분이 우리 몸에 끼칠 수 있는 해악에 대하여 관심을 가질 수 밖에 없고 국민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식품의 성분을 분석하는 식품시험원의 역할이 더 커질 전망이다. HACCP인증이 법적으로 의무화 되는곳이 많아 지고 있으며 또한 기계가 사람이 하는 식품분석의 업무를 모두 대신할 수 없기 때문에 향후에도 식품시험원의 일자리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식품가공검사원과 관련 직업인 식품시험원의 임금수준은 하위(25%) 2890만원, 평균(50%) 3305.053만원, 상위(25%) 4054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식품가공검사원이 되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이 요구된다.

  • 직업 훈련

    채용 후 숙련된 검사원으로부터 현장훈련을 받으면서 기능을 축적하며, 관련 식음료제품 조작원으로서의 경험이 요청되기도 한다.

  • 관련 자격증

    식품가공검사원이 되기 위해 요구되는 국가공인자격증은 없다.

문의기관

한국식품산업협회 http://www.kfia.or.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