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공학분야(숙련직)

치과기공사

평균연봉 : 4149↑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좋음 고용평등 : 좋음

핵심능력

손재능, 공간시각능력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치기공과
관련자격
치과기공사

하는일

치과기공사는 치과의사의 의뢰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재료의 치아,치아장치,교정 장치 등 을 제작 수리한다.

치과보철물의 종류 및 사용하는 재료, 완성시간, 설계 등을 확인하고 치과 병·의원으로부터 제공 받은 환자의 치아모형을 분석, 설계하여 모형에 따라 석고모형을 뜬다.

작업 모형에 맞게 금, 은, 합성수지 등으로 인공 치아를 만들거나 의치 및 교정틀 등 치아에 필요한 보철 제작물을 주조한다.

제작물을 정교하게 연마하고 가공하여 보철물을 완성하고 모델에 맞게 제작되었는지 확인한다.

치과 기공물 및 충전물 제작, 수리에 사용되는 도구나 재료, 장비 등을 관리한다.

적성 및 흥미

기계 및 장비를 잘 다루고 미적 감각과 좋은 시력을 가진 사람에게 유리하며 일을 수행함에 있어 정확성과 집중력이 요구된다.

차분한 성격의 사람에게 적합하며 오랜 시간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인내심과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등과 원만한 대인관계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관습형과 예술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꼼꼼함, 책임감, 성취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공학분야(숙련직)
표준직업분류 2453치과기공사
고용직업분류 3063치과기공사

관련자료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치과기공사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 이상의 치과기공학과에서 치과 의료 전반의 전문지식과 치과 기공물 제작과 수리에 대한 기술을 습득하여 졸업한 후,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주관하는 치과기공사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면허를 취득해야 한다.
    종합병원 및 대학병원, 일반 치과 병·의원의 치과기공실, 치과기공소에 취업이 가능하며, 본인이 직접 치과기공소를 개설할 수도 있다. 치과재료업체 및 치과 장비업체 등에도 진출하기도 한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치과기공사의 고용은 다소 증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15-2025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치과기공사는 2015년 약 20.8천 명에서 2025년 약 25.2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4.4천 명(연평균 1.9%)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치과기공사 면허등록자는 2014년 기준으로 31,555명으로 2009년의 25,618명과 비교하여 5년간 23.2% 증가하였다. 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합격자 통계에 의하면 2013년~2015년까지 최근 3년간 연 평균 약 1,150명의 치과기공사 합격자를 배출하였다.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평균 수명이 연장되며 구강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치아 치료뿐 아니라 예방적 차원에서의 검진이 증가하였으며, 건강관리와 외모 증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치아 교정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고령자에 한해 틀니와 임플란트까지 의료보험 보장 범위가 확대되며 치과기공사의 수요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3D 프린터를 이용한 보철물의 제작이 가능해지면서 복잡한 공정이 단순해지고 그리고 보철물을 만들기까지 소요되는 시간도 줄어들고 있다. 치과기공장비의 디지털화로 제작 공정 자동화되면서 현장에서는 고용감소를 우려하고 있다. 향후 이 분야의 고용이 어떻게 될지 현 단계에서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나 치과기공사는 디지털과 관련된 전문능력을 함양하고 연구개발 등의 능력을 갖춘자에게 유리할 것이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치과기공사의 임금수준은 하위(25%) 3180만원, 평균(50%) 4148.568만원, 상위(25%) 4893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치과기공사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교 및 대학교에서 치과기공학을 전공하여야 한다.

  • 관련 자격증

    치과기공사가 되려면 치과기공학과를 졸업하고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주관하는 치과기공사 국가시험에 합격한 후 보건복지부장관으로부터 면허를 발급받아야 한다.

문의기관

대한치과기공사협회 http://www.kdtech.or.kr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https://www.kuksiwon.or.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