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서비스(전문직)

치과위생사

평균연봉 : 3065↑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매우좋음 고용평등 : 매우좋음

핵심능력

언어능력, 대인관계능력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치위생과
관련자격
치과위생사

하는일

치과위생사는 치과의사의 진료 및 치료를 협력하여 구강 관련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고 구강 관리를 안내한다.

환자의 구강 상태를 간단히 검진하여 치과위생에 필요한 방사선 촬영을 하며, 구강 내 검사 및 진단, 교정 및 치아를 뽑거나 수술할 때 보조 한다.

치과 진료기구 및 장비를 소독하고 관리하며, 구강상태를 간단히 시진하여 치료의 종류를 분석한다.

구강 내의 여러 가지 침착물을 제거하고 치아표면을 매끈하게 하여 치주질환을 예방한다.

환자의 건강 상태를 기록하고 관리하며, 진료 기구 및 장비 소독과 배치에 대한 병원 관리 업무나 의료 보험 청구 업무 등 기타 행정적인 업무를 한다.

이외에도 병원, 가정 및 학교에서 개인 또는 대중을 상대로 구강 보건 교육을 실시하며, 학교 및 보건소에서 집단 구강 검사, 칫솔질 교육, 모자 구강 보건 교육 등을 담당한다.

적성 및 흥미

치과위생사는 치위생에 관한 기초지식이 필요하며 병원뿐만 아니라 타 공사기관에서 구강보건교육을 실시하기도 하므로 언어전달 능력이 요구된다.

섬세한 손놀림과 꼼꼼한 성격이 유리하며, 스케일링 및 일부 치료를 할 때 치과 의료기기의 원활한 작동능력이 요구된다.

현실형과 관습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남에 대한 배려, 협조심, 스트레스 통제력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서비스(전문직)
표준직업분류 2454치과위생사
고용직업분류 3064치과위생사

관련자료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치과병원, 종합병원, 지역사회 보건소, 국공립의료기관 등의 치과진료실에 대부분 진출한다.
    학교구강보건실, 구강보건연구기관 및 유관단체 등에서 일하기도 한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치과위생사의 고용은 증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15-2025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치과위생사는 2015년 약 48.2천 명에서 2025년 약 59.2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11.0천 명(연평균 2.1%)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치과위생사가 주로 근무하는 우리나라 치과 병·의원은 2009년 14,249개소에서 2014년 16,135개소로 5년간 13.2% 증가하였다. 이처럼 치과 병·의원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도 치과위생사의 수요증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보건복지통계연보(2015)」에 의하면 2014년 우리나라 면허등록 치과위생사는 61,139명으로 2009년 40,381명에 비해 51.4% 증가하였다.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인에 의하면 치과위생사는 2016년 4,539명, 2015년 4,798명, 2014년 5,053명이 합격하여, 최근 3년간 연 평균 약 4,810명의 치과위생사 면허취득자가 배출되고 있다. 생활수준 향상과 평균수명 연장 및 웰빙에 대한 관심의 고조 등으로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면서 치과서비스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증가한 치과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치과 병·의원에서는 치과위생사에 대한 고용을 늘릴 것으로 예상되며, 그동안 치과의사들이 해왔던 치아클리닝과 같은 예방 차원의 치과 서비스를 치과위생사들이 수행하게 되면서 치과위생사의 고용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국가의 구강보건 정책이 치료 위주에서 예방 위주의 진료로 전환되면서 예방처치 및 구강보건 교육을 수행하는 치과위생사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대학의 치위생(학)과의 신·증설로 인해 치과위생사의 배출 인력이 크게 증가하여 공급이 과잉이라는 지적도 있다. 한해에 5천 명 가까운 치과위생사가 배출되고 있는데 이들이 주로 취업할 수 있는 치과병·의원의 수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치과위생사의 임금수준은 하위(25%) 2770만원, 평균(50%) 3064.758만원, 상위(25%) 3323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치과위생사가 되기 위해서는 3년제 전문대학이나 4년제 대학교에서 치위생(학)과를 졸업하고 보건학사 또는 치위생 학사 학위를 취득해야 한다.

  • 관련 자격증

    치과위생사가 되려면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매년 1회 시행하는 국가면허시험에 합격한 후 보건복지부장관으로부터 치과위생사 면허를 발급받아야 한다.

문의기관

대한치과위생사협회 http://www.kdha.or.kr
한국보건치과위생사회 http://www.kdphs.org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