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서비스(전문직)

직업군인

평균연봉 : 4215↑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고용평등

핵심능력

신체운동능력, 자기성찰능력

유사직업명

장교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군사학과 , 부사관과

하는일

직업군인은 지휘관으로서 일반병사를 지휘 통솔하거나 혹은 참모로서 지휘관을 보좌하여 정보·작전·인사·군수 등 전문 업무를 수행한다.

외부의 모든 군사적 위협으로부터 국가를 보위하고 전쟁을 억제하며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켜 평화와 안정을 이룩하는 일을 한다.

남·북한 간의 군사분계선 감시 및 관리, 해안선 및 국가 중요시설에 대한 경계를 수행하며, 비무장지대와 해안, 내륙 지역의 적 예상 은거지 등에 대한 수색 정찰을 한다.

국가기간산업의 보호, 환경보호 활동 지원, 지역개발 지원, 구난·구조, 테러 방지 활동, 마약밀수 방지 활동, 분쟁지역에 대한 평화유지 활동, 해양수송로 보호 등의 일을 한다.

적성 및 흥미

각종 훈련을 견딜 수 있는 강한 체력과 정신력이 요구된다. 장교의 경우 분석력과 통찰력, 판단력 등을 갖추어야 한다.

통제된 생활을 이겨 낼 수 있는 절도 있는 생활 자세와 인내심이 필요하며, 올바른 국가관, 책임감과 동료들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서비스(전문직)
표준직업분류 A0군인
고용직업분류 250군인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직업군인이 되기 위해서는 고졸 이상의 학력이 필요하다. 장교의 경우 전문대학 이상의 학위가 필요하고 특수사관의 경우 각 자격을 취득한 자에 한해 지원이 가능하므로 높은 학력이 필요하다.

  • 고용현황

    『2018 국방백서』에 의하면 2018년 우리나라 총병력 수는 59.9만여 명이다. 이 중에서 육군은 46.4만 여명이고, 해군은 7만여 명이며 공군은 6.5만여 명을 차지하고 있다. 정부의 국방개혁을 통해 전투기, 항공기, 장수함 등 첨단무기를 증대하여 군현대화를 계획하고 있고, 단계적으로 병력규모를 축소·조정하려고 하고 있기 때문에 직업군인의 고용은 현상태를 유지하거나 장기적으로는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 임금수준

    직업군인을 포함한 위관급 장교의 평연봉(중위값)은 4215만원이다(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부사관은 병역의무를 마치지 않은 고졸 이상 학력보유자이면 가능하고, 장교는 고졸 이상 학력자의 경우 각군별 사관학교나 일반대학의 학군사관(ROTC) 또는 학사사관을 거쳐 선발·임관되며, 전문대졸 이상 학력자는 제3사관학교나 간부사관에 지원이 가능하고, 법무·군의·치의·간호 등 특수사관은 유자격자에 한해 지원할 수 있다. 여군 장교는 육·해·공군 사관학교, 학사사관, 간부사관 후보과정을 거치거나 간호사관학교를 통해 임관된다.

  • 관련 자격증

    직업군인이 되기 위해 요구되는 국가자격증은 없다.

문의기관

공군사관학교 http://www.afa.ac.kr/
해군사관학교 http://www.navy.ac.kr
육군사관학교 http://www.kma.ac.kr
국방부 http://www.mnd.go.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