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서비스(숙련직)

버스운전기사 사진

평균연봉 : 4182↑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보통미만 고용평등 : 보통미만

핵심능력

신체운동능력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자격
자동차운전면허 1종

하는일

버스운전기사는 시내버스, 시외버스, 고속버스 등 노선버스나 관광버스를 운전하거나 학교, 기업체 등의 비영업용 버스를 운전하여 승객을 운송하는 일을 담당한다.

배차계획에 따라 버스차량을 배차 받고 점검표에 따라 연료, 타이어, 냉각수 및 차량의 각 부분을 점검하고 이상이 발견되면 정비 공장에 수리를 의뢰한다.

버스 운행시간과 정해진 버스 노선, 또는 수송 운행표에 따라 목적지까지 버스를 운전하며 출입문을 여닫고 정차신호에 따라 정해진 정류장 또는 목적까지 승객이나 물건을 운송한다.

운행이 종료되면 차량을 입고하고, 수입금을 납입하며 출발시간, 도착시간, 주행, 거리, 연료소모량, 고장, 장애 등에 대한 운행일지를 작성한다.

차량의 청결을 유지하고, 교통법규를 준수한다.

적성 및 흥미

손님을 목적지까지 안전하고 신속하게 운송하겠다는 서비스 정신과 돌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교통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운행을 담당하는 노선에 대한 지리적 지식, 운행하는 차량 및 차량 정비에 대한 지식과 이해가 요구된다.

현실형과 탐구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남에 대한 배려, 정직, 신뢰, 적응력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서비스(숙련직)
표준직업분류 8732버스 운전원
고용직업분류 6222버스 운전원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버스운전기사가 되기 위해서는 위에서 언급한 훈련과 자격사항을 갖춘 다음, 공채나 개인적 소개를 통해 시내버스 회사 등 운수업체 및 관광회사 등에 채용될 수 있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버스운전기사와 관련 직업인 버스운전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전망이다. 서울시를 비롯한 대도시를 중심으로 시내버스 준공영제가 실시됨에 따라 시도의 재정지원으로 시내버스가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보조금을 부정사용하는 것에 대한 처벌규정 및 시도지사의 버스운영에 대한 권한을 강화하는 법안이 없어 시도지사에게 버스 노선 폐지 및 감차 등의 권한을 갖도록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을 개정하였다(2013.8). 또한 국토교통부가 전세버스의 수급조절을 위해 신규 등록 및 증차를 제한하고 있어 향후 전세버스와 시내버스의 규모는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 경기, 대구, 부산 등 지하철 운행노선이 연장·추가되고 자동차 보유가구의 증가, 경전철의 완공, KTX의 확장 등 기타 운행수단이 활성화되는 점은 버스운전원의 고용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시내버스의 경우에도 버스전용차로 확대, 교통환승제 등 대중교통을 지원하는 정책은 지속되고 있고, 프리미엄 고속버스를 도입하여 서비스를 고급화 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점은 버스운전원의 고용 감소 폭을 줄여줄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버스운전기사와 관련 직업인 버스운전원의 임금수준은 하위(25%) 4017만원, 평균(50%) 4181.9만원, 상위(25%) 4738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버스운전기사가 되기 위한 학력이나 전공의 제한은 없다.

  • 직업 훈련

    시내버스운송회사에 취업하면, 예비운전사로서 1개월 정도의 수습기간을 거치게 된다.

  • 관련 자격증

    버스운전기사가 되기 위해서는 만21세 이상으로 1종 대형 운전면허를 취득한 다음, 1년 이상의 운전경력을 쌓아야 하며 교통안전공단에서 실시하는 사업용 차량 운전적성 정밀검사기준을 통과해야 한다.

문의기관

교통안전공단 http://www.ts2020.kr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 http://www.bus.or.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