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경영분야(전문직)

외환딜러

평균연봉 : 7331↑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매우좋음 고용평등 : 좋음

핵심능력

언어능력, 수리논리력

관련학과/관련자격

하는일

외환딜러는 달러($)화, 엔화, 마르크화 등 국제 금융 시장에서 통용되는 외환과 파생상품을 싼 시점에 사들이고 비쌀 때 팔아 그 차액을 남기는 일을 한다.

세계 정세 변화, 외환시장 동향 등 금융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한다.

환율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따른 손실발생 방지 및 이익을 남기기 위해 매매시점을 포착한 후 외환과 외환선물상품을 매매한다.

외환시장조건과 전망에 대해 고객이나 상급관리자에게 알리고, 거래를 권고한다.

적성 및 흥미

직관력, 통계학적 판단력과 결단력이 있어야 하며, 능숙한 외국어 실력이 요구된다. 또 세계의 정세변화와 경제변동에 대한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손해를 보아도 금방 잊어버릴 수 있도록 대담한 성격을 가진 사람에게 유리하며 자기통제능력이 있어야 한다.

진취형과 탐구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스트레스 감내, 독립성, 적응성 및 융통성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경영분야(전문직)
표준직업분류 2724증권 및 외환 딜러
고용직업분류 0314증권·외환 딜러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공채나 특채를 통해 은행, 증권회사, 기업 등으로 진출한다.
    대학교의 경영학, 경제학, 금융회계학, 세무학 등을 전공하여 진출하면 유리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경제, 경영(MBA), 회계, 세무분야의 석박사의 학력이 필요할 수도 있다. 외환관리사나 투자상담사와 같은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민간자격증이므로 큰 도움이 안 될 수도 있다. 자격증의 유무보다 실제로 필요한 역량을 가지는 것이 더 중요하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외환딜러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동안 해외시장개방, 해외여행활성화 등으로 외환거래가 증가하면서 외환딜러의 수요도 꾸준하였다. 하지만 지속되는 저금리는 외환의 유입기회 및 재정거래 축소로 이어지고 유동성 감소 및 거래량 감소, 투자거래 수요로 이어져 외환딜러에 대한 수요를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예전에는 외환딜러가 정보를 장악하고 있던 상황이었으나, 점차 외환수요자인 각 기업들의 정보력도 커지면서 고수수료를 받던 전문딜러의 수요가 감소할 수 있으며, 은행에서도 기존의 외환딜러업무를 일반 금융사무원들이 담당하는 등 업역의 변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외환취급과 관련한 국제규제의 변동성, 빅데이터에 기반한 거래의 활성화도 향후 외환딜러의 수요 위축을 불러올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외환딜러로 종사하기 위해서는 은행 및 금융기관에서의 경력과 실무교육이 수반되어야 하기 때문에 신규입직이 쉽지만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외환딜러의 임금수준은 하위(25%) 6214만원, 평균(50%) 7331.395만원, 상위(25%) 8309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외환딜러가 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대학에서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무역학, 통계학 등을 전공하는 것이 유리하며, 경영(MBA), 경제, 회계분야의 석사이상 학위를 요구할 수도 있다.

  • 직업 훈련

    한국금융연수원이나 사설학원 또는 단체에서 운영하는 외환딜러양성 프로그램을 통해 외환딜러가 되기 위한 교육을 받을 수 있으며 금융기관에 입사한 후 경력을 쌓는 것이 필요하다.

  • 관련 자격증

    관련 국가공인민간자격증으로 한국금융연수원이 주관하는 외환전문역 I종과 II종이 있다.
    국가공인 외환전문역 I종은 주로 개인 외환과 관련된 직무를 담당하고, II종은 주로 기업 외환과 관련된 직무를 담당한다.

문의기관

한국무역협회 http://www.kita.net
한국금융연수원 http://www.kbi.or.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