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예술분야(전문직)

영화기획자

평균연봉 : 4400↑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좋음 고용평등 : 보통이상

핵심능력

공간시각능력, 창의력, 대인관계능력

관련학과/관련자격

하는일

영화기획자는 영화의 기획에서부터 개봉에 이르는 전과정에 대한 기획과 관리를 담당한다.

새로운 영화 소재의 발굴을 위해 소설 또는 대본(시나리오)을 검토하고 흥행에 성공할 수 있는 작품을 선정한 다음, 영화의 기본 시나리오와 인력, 소요 비용, 제작 기간 등에 대한 기획안을 작성한다.

기획안이 통과되어 영화화하기로 결정이 되면, 영화감독, 출연 배우, 스태프 등을 섭외한다.

영화의 촬영이 완료된 후에는, 영화시장의 특성과 유통구조를 잘 파악하여 개봉시기와 개봉영화관, 영화의 홍보 등의 계획 및 실행 업무를 담당한다.

적성 및 흥미

영화기획자는 영화를 좋아해야 하고 영화계의 구조, 좋은 영화를 선택하는 안목, 영화 연출 등 영화 전반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새로운 작품을 기획하여 실행시키기 위한 추진력과 실험정신, 모험심이 요구되며, 기획한 영화를 흥행에 성공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마케팅과 홍보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는 능력 역시 필요하다.

영화 작품의 평가와 흥행여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등을 관찰하고 분석할 수 있는 종합적 사고능력과 판단력이 필요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예술분야(전문직)
표준직업분류 2831감독 및 기술 감독
고용직업분류 4161감독 및 기술감독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공채나 특채 또는 개인적 소개를 통해 기존 영화기획자의 일을 돕거나 영화에 관련된 일을 하다 프리랜서 영화기획자로 진출할 수 있다.

  • 고용현황

    영화기획자를 포함한 문화·예술·스포츠 전문가 및 관련직의 종사자 수는 632,000명이며, 한국영화산업의 성장으로 연화관람객의 증가, 디지털온라인 시장의 성장, 해외 수출액의 증가로 향후 10년간 고용은 연평균 1.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자료: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 임금수준

    영화기획자의 평균연봉(중위값)은 4400만원이다(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영화기획자가 되기 위해 요구되는 전공이나 학력의 제한은 없지만, 전문대학이나 대학교의 영화 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것이 유리하다.

  • 직업 훈련

    영화아카데미나 사설 교육기관 등에서 영화기획자가 되기 위한 교육과 훈련을 받을 수 있다.

  • 관련 자격증

    영화기획자가 되기 위해 요구되는 국가공인자격증은 없다.

문의기관

영화진흥위원회 http://www.kofic.or.kr
한국영화인총연합회 http://www.koreamovie.or.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