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소비자경제분야

제과사 및 제빵사 사진

평균연봉 : 2851↑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보통미만 고용평등 : 보통미만

핵심능력

손재능

유사직업명

제과제빵사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식품가공과 , 식품영양과 , 식품영양학과 , 식품조리과 , 제과제빵과 , 호텔조리과
관련자격
제과기능사, 제과기능장, 제빵기능사

하는일

제과사 및 제빵사는 빵, 케이크, 쿠키, 파이 등 다양한 빵 및 과자류를 만든다. 빵을 전문으로 만드는 사람을 제빵사, 케이크와 파이 등을 만들고 장식하는 사람을 제과사라 한다.

제조할 제품의 종류에 따라 원료를 선별한 후, 일정 비율로 계산한다.

손이나 혼합기를 이용하여 반죽을 완성시킨 후, 일정한 온도와 습도에서 규정된 시간동안 발효, 숙성시킨다.

오븐에 넣고 온도와 시간을 조절하여 구운 후, 냉각기 혹은 자연 상태에서 냉각시킨다.

제품의 종류에 따라 크림, 잼 등의 장식을 하고, 포장을 한다.

제품이 마무리되면 남은 재료를 잘 보관하고 조리기구와 오븐을 정리정돈하여 청결을 유지한다.

적성 및 흥미

제과사 및 제빵사는 예민한 미각과 아름다운 제품을 만들기 위한 미적 감각이 필요하며 새로운 빵, 과자 등을 개발할 수 있는 창의력을 갖추어야 한다.

정교한 손놀림, 꼼꼼함을 갖추면 유리하며, 장시간 서서 작업하기 때문에 체력과 인내심이 있어야 한다.

예술형과 탐구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혁신, 사회성, 리더십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소비자경제분야
표준직업분류 7101제빵사 및 제과원
고용직업분류 8711제과·제빵원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제과·제빵관련 학원, 한국제과학교 등에서 기술을 배우거나 전문대학 및 대학교의 조리관련학과, 제과제빵관련학과에서 체계적인 교육을 받고 프렌차이즈 베이커리업체의 본사, 체인점, 제빵전문업체, 제과전문업체, 호텔 베이커리, 소규모 제과점 등에 취업한다.
    프랜차이즈로 운영되는 베이커리 업체나 대규모 제과업체의 제과제빵사 경우 빵, 케익, 쿠키 등 각 분야별로 2∼3년씩 전문기술을 익히기도 한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제과사 및 제빵사와 관련 직업인 제빵원 및 제과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전망이다. 서구화된 생활과 식습관으로 쌀 소비량은 감소하는 반면, 빵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맞벌이 가정이 늘면서 식사대용으로 빵을 먹는 사람이 많아졌고, 특히 공장에서 대량으로 생산한 것이 아닌 갓 구워낸 즉석 빵을 선호하는 고객들이 증가하면서 대형마트, 백화점, 카페 등 지역 곳곳에 다양한 형태의 제과점이 들어서고 있다. 또한, 빵, 과자, 케이크를 함께 파는 기존의 제과점에서 탈피하여 케이크전문점, 샌드위치전문점, 초콜릿전문점, 도넛전문점, 파이전문점처럼 특화된 제과·제빵 분야 전문업장이 생기고 있다. 제과점업이 2013년 2월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되면서, 제과점 창업이 늘고 있는 추세다. 지난해 12월 대한제과협회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대기업 프랜차이즈와의 경쟁 열세로 지속적으로 감소했던 동네빵집이 2012년 4,378개소에서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된 이후 자영업자들의 창업이 늘어나면서 2013년 4,762개로 384개(8.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제과제빵사의 고용 및 창업에 긍정적으로 요소로 보인다. 이처럼 제과제빵사의 활동 영역도 다변화, 전문화되고 있고, 식문화가 어느 순간 갑작스럽게 변화하는 것이 아니며, 중소기업 보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도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과제빵사의 고용은 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제과사 및 제빵사와 관련 직업인 제빵원 및 제과원의 임금수준은 하위(25%) 2474만원, 평균(50%) 2850.738만원, 상위(25%) 3521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제과사 및 제빵사가 되기 위해서는 실업계 고등학교나 전문대학의 식품가공과, 제과제빵과 등을 전공하면 유리하다.
    전문대학의 제과제빵과에서는 기본적인 조리능력을 갖추도록 교육하며, 제과제빵이론과 실험(실습)을 함께 익힐 수 있다.

  • 직업 훈련

    숙련된 제과사나 제빵사를 보조하면서 현장에서 직접 기술을 습득하거나 사설교육기관에서 훈련과정을 이수할 수 있다.

  • 관련 자격증

    관련 자격증으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제과기능사, 제과기능장, 제빵기능사가 있다.

문의기관

대한제과협회 http://www.bakery.or.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