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예술분야(전문직)

제품디자이너

평균연봉 : 3308↑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매우좋음 고용평등 : 매우좋음

핵심능력

손재능, 공간시각능력, 창의력

유사직업명

자동차디자이너, 장신구디자이너, 용기디자이너, 가구디자이너, 북디자이너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공업디자인과 , 공업디자인학과 , 공예과 , 공예디자인학과 , 산업디자인과 , 산업디자인학과 , 시각디자인과 , 시각디자인학과 , 제품디자인과 , 패션디자인과
관련자격
제품디자인산업기사, 제품디자인기사, 제품디자인기술사, 제품응용모델링기능사

하는일

제품디자이너는 바늘에서부터 항공기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각종 제품을 디자인한다.

디자인 의뢰가 들어오면, 시장조사를 통해 소비자의 취향과 욕구, 유행흐름을 분석하고 디자인 동향을 파악하며, 만들고자 하는 제품의 기술동향, 제조단가 등을 고려하여 디자인 컨셉을 결정한다.

설계도를 바탕으로 점토,나무,종이 등으로 모형제작 후 개조, 수정작업을 거쳐 설계도면을 만든다.

시안으로 여러 디자인을 만든 후 몇 번의 수정작업을 거쳐 최종 디자인을 결정한다.

기술적인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고, 특히 디자인에 따라 성능, 부품, 자재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해 기술팀이나 제작팀과 사전에 충분히 협의한다.

소비자의 불편사항과 개선사항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다음 모델에 반영하기도 한다.

적성 및 흥미

제품디자이너는 조형미와 미적 감각, 창의성 등은 물론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자의 취향과 심리를 잘 파악할 수 있는 마케팅감각과 상업적인 아이디어가 있어야 한다.

표현력이 뛰어나고 섬세한 성격을 가진 사람에게 유리하며, 여러 명이 같이 작업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팀워크를 잘 이룰 수 있는 성격이 요구된다.

기획, 디자인 개발, 마케팅 등 제품 전과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혁신, 성취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며 탐구형과 예술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예술분야(전문직)
표준직업분류 2851제품 디자이너
고용직업분류 4151제품 디자이너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업체에서는 공채로 제품디자이너를 채용하는데, 이때 대부분 디자인분야 전공으로 대학졸업이상의 학력을 요구한다. 업체에 따라 다르지만 시험전형은 서류, 실기, 면접 등의 과정으로 이뤄진다. 보통은 이력서와 포트폴리오로 입사지원을 하는데, 채용 시 가장 중요하게 보는 것은 포트폴리오 이다.
    요즘엔 실무경험이 없는 디자이너를 뽑아서 일을 가르치는 것은 시간도 많이 걸리고 비용도 많이 들기 때문에 대부분의 제조업체에선 경력직을 주로 뽑는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제품디자이너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하거나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디자인은 소비자의 제품 구매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제품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상품의 외적인 차별성과 가치를 부여하는 디자인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면서 제조 분야에서 제품디자이너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특히, 많은 기업에서 기술혁신에 비해 투자비가 상대적으로 적게 들고 우수한 성과를 낼 수 있는 디자인 영역을 기업 경영에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즉, 기업의 전략분석, 기획, 엔지니어링, 마케팅, 유통, 기업 이미지 및 브랜드관리 등 경영 요소 전반에 걸쳐 디자인적 가치를 부여하는 ‘디자인 경영(Design Management)’이 중요한 영역을 차지하면서 디자인을 생산의 일부로만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디자인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업의 디자인 경영 태도는 제품디자이너의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제품디자인의 수요가 증가하는 분야는 주로 스마트폰 및 스마트기기, 냉장고, TV 등으로, 스마트폰 등의 정보통신제품은 디자인에 민감한 젊은 세대를 겨냥하여 기업의 투자가 꾸준한 편이며 대기업 위주의 시장이라는 점에서 입직을 위한 제품디자이너 간의 경쟁도 치열한 편이다. 제품디자인의 영역은 단순히 제품의 외형뿐 아니라 각 제품의 구조, 기능까지 포함하고 있어 자신의 전문 분야에서 해당 제품의 제작기술을 이해하고 있는 전문성 있는 제품디자이너에 대한 수요가 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제품의 외형적 디자인 외에 제품을 사용하는 소비자의 경험적 가치를 중시하는 경향에 따라 제품디자인에서도 UX/UI디자인을 서비스에 접목하는 영역의 디자이너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대기업의 경우 부설 디자인연구소를 통해 디자인 작업을 수행하기도 하지만 좀 더 선진화된 기술을 가진 해외에 제품디자인을 맡기기도 하고, 외국 브랜드의 직수입도 늘어나고 있는 점은 제품디자이너의 일자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경기침체와 전반적인 제조업체의 감소 추세로 인해 제품디자인에 투자하거나 인원을 보강하지 못하는 회사들이 많아지는 점은 제품디자이너의 고용을 어렵게 한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제품디자이너의 임금수준은 하위(25%) 2653만원, 평균(50%) 3308.5만원, 상위(25%) 4078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제품디자이너가 되기 위해서 전문대학 및 대학교의 제품디자인과, 산업디자인과, 공업디자인과 등 관련 학과를 전공하면 유리하다.

  • 직업 훈련

    사설 디자인 학원 등에서 제품디자이너가 되기 위한 교육과 훈련을 받을 수 있다.

  • 관련 자격증

    관련 자격증으로 제품디자인기사, 제품디자인기술사, 제품디자인산업기사, 제품응용모델링기능사가 있다.

문의기관

한국디자인진흥원 http://www.kidp.or.kr/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 http://www.kaid.or.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