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예술분야(전문직)

조각가 사진

평균연봉 : 3285↑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보통이상 고용평등 : 매우좋음

핵심능력

손재능, 공간시각능력, 창의력

관련학과/관련자격

하는일

조각가는 조각도를 사용하여 나무, 돌, 금속 또는 상아 등의 재료에 도안을 하거나 조각 작품을 창조한다.

연마기, 끌, 정, 망치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석재, 콘크리트, 목재 등의 재료에 조각대상을 새긴다.

석재 또는 콘크리트 등의 재료로 조각상을 제작하기 위하여 진흙, 왁스 등의 가소성 재료를 사용하여 모형을 제작한다.

완성된 모형의 외관과 가공하고자 하는 재료의 외형을 비교하면서 용접기, 금속세공도구, 석공도구 등을 사용하여 금속 또는 석재를 연마한다.

적성 및 흥미

타고난 창의력과 예술적 감각이 요구된다.

아름다움을 느끼고 감동할 수 있는 감성과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조각으로 잘 표현해낼 수 있는 표현 능력이 요구된다.

공간 지각력과 다양한 재료를 발굴할 줄 아는 능력, 사물에 대한 깊은 통찰력 등이 필요하다.

예술형과 탐구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인내심, 혁신, 독립성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예술분야(전문직)
표준직업분류 2841화가 및 조각가
고용직업분류 4141화가 및 조각가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공모전을 통해 조각가로 등단하거나 대학에서 교수를 겸직하면서 조각활동을 하기도 한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조각가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조각가는 순수 예술인으로 특정 기관에 소속되어 활동하지 않으며, 창작한 작품의 판매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기 때문에 고용 전망을 내리기는 쉽지 않다. 아트페어(Art Fair:여러화랑이 한곳에 모여 미술작품 판매 행사), 비엔날레(Biennale:2년마다 개최되는 국제미술전), 미술전시회가 증가하면서 미술시장이 활성화되고 있어 미술가의 일자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미술계 내부에서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해서 몇몇 유명 미술관이나 갤러리를 제외하고는 운영난에 허덕이는 경우가 많다. 작품 활동을 통해서만 경제적인 생활을 유지하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며, 무명작가의 경우 여전히 활동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 이들의 일자리 증가는 기대할 수 없다. 기업의 문화예술후원인 기업메세나(Corporation Mecenat) 활동이 증가하고는 있지만, 여전히 문화예술 단체나 개인에 대한 직접적인 후원은 많지 않은 상황으로 몇몇유명한 미술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미술가는 활동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 따라서 조각가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조각가의 임금수준은 하위(25%) 2553만원, 평균(50%) 3285.497만원, 상위(25%) 4337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조각가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이나 대학교의 조소 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것이 유리하다.

  • 관련 자격증

    조각가가 되기 위해 요구되는 국가공인자격증은 없다.

문의기관

한국미술협회 http://www.kfaa.or.kr
한국전업미술가협회 http://kpaa-all.or.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