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공학분야(전문직)

비행기조종사

평균연봉 : 11956↑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매우좋음 고용평등 : 매우좋음

핵심능력

신체운동능력, 공간시각능력, 수리논리력

유사직업명

항공기조종사, 검열조종사, 기장, 부조종사, 시험조종사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기계공학과 , 기계과 , 제어계측공학과 , 제어계측과 , 항공우주공학과 , 항공운항학과
관련자격
사업용조종사, 운송용조종사, 자가용조종사

하는일

비행기조종사는 승객이나 화물을 운반하기 위해 여객기, 전투기, 경비행기, 헬리콥터 등을 조종한다.

비행스케줄에 따라 항로, 목적지, 연료량. 기상 조건 등을 숙지하고 항공기 상태, 조종실 시스템 등을 점검한다.

비행하는 동안 비행기의 장으로 항공승무원의 활동을 지휘하며 운항일지를 기록하고 비행 중 발생한 각종 설비상의 문제나 이상현상을 보고한다.

탐색, 구조, 항공측량작업을 하며 소독약의 분무, 농약살포와 같은 일을 하기도 한다.

비행기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새로운 비행기를 테스트한다.

적성 및 흥미

비행기조종은 기상이변 등 갑작스런 상황 변화에 대한 정확한 판단력과 대처능력이 필요하며 능숙한 외국어 구사 능력, 공간지각력, 운송, 지리, 물리, 통신에 대한 기본지식이 요구된다.

오랜 비행 조종과 불규칙한 근무환경 속에서 일하기 때문에 건강한 체력과 인내심이 요구되며 비행기 및 승객의 안전과 직결되기 때문에 사명감과 책임감이 있어야 한다.

현실형과 탐구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자기통제 능력, 리더십, 꼼꼼함, 협조심 등이 필요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공학분야(전문직)
표준직업분류 2381항공기 조종사
고용직업분류 6211항공기 조종사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군조종사 경력을 통해 되는 방법이 있고, 대학의 항공운항과를 졸업하고 비행교육원에서 소정의 교육을 받아 조종사로 근무하는 방법이 있다. 또 항공사의 조종훈련생으로 선발되어 교육을 받고 각 항공사에 입사하거나 항공 유학을 통해 해외에서 일정 자격 갖춘 후 경력조종사로 지원하기도 한다.
    공군사관학교에 입학 한 후 4년간 생도생활을 마친 후 공군 소위로 임관하여 비행훈련을 받고 군 조종사로 15년 의무복무 후 본인의 의사에 따라 민간항공사에 취업할 수 있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비행기조종사와 관련 직업인 항공기조종사의 고용은 증가할 전망이다. 생활수준의 향상 및 라이프스타일이 변화하면서 여가시간이 증대되고 국내외 여행수요가 증가하였다. 국내의 해외여행객들도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로 들어오는 외국여행객들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형항공사들은 국외 노선을 증편하거나 노선을 신설하고 있으며, 저가항공사들도 신기종 항공기를 도입하고 신규 노선을 취항하는 등 전반적인 항공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국내 항공기 등록대수는 2015년 700대를 넘어섰으며, 국내외 항공여객수도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 국제선 여객의 경우 금융위기가 있었던 2008~2009년에 다소 감소하였으나 2010년 이후부터 증가세를 지속하여 2015년 6천만 명을 넘었으며, 국내선 여객수도 증가하여 2015년 2천7백만 명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여객인원의 증가와 등록항공기 증가는 항공기 운행 증가로 이어지고 조종사 수요로 이어진다. 저가 항공사들이 시장 내에서 자리를 잡으며 점차 노선을 확장하고 있는 것도 항공기 조종사의 일자리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저가항공사의 경우 국내를 비롯하여 중국, 일본 등 비교적 가까운 단시간 비행노선만을 운영하였으나 점차 동남아, 남태평양 노선 등 서비스 지역을 확장해나가고 있다. 현재 항공 자격증 취득 조건이 구형 항공기에 맞춰져 있어 신형 항공기 기준으로 자격 조건 규제를 완화할 경우 고용 증가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인터넷 거래 활성화 및 FTA 체결 등에 따른 항공물류량이 증가하여 화물 물류로 인한 조종사 고용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비행기조종사와 관련 직업인 항공기조종사의 임금수준은 하위(25%) 8622만원, 평균(50%) 11956.435만원, 상위(25%) 15123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항공기 조종사가 되기 위해서는 공군사관학교, 한국항공대학교, 한서대학교의 항공운항학과에 입학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공군사관학교에서 학업을 마친 학생들은 군에서 복무하여 일정기간동안 훈련을 받도록 되어 있다.
    항공기 조종사는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서 주관하는 무선통신사를 우선적으로 취득해야 한다.
    또한 국토교통부에서 실시하고 교통안전공단이 주관하는 국가자격시험인 자가용 조종면허(Private Pilot License), 사업용 조종면허(Commercial Pilot License), 운송용 조종면허(Airline Transportation Pilot License)를 순차적으로 취득해야 한다. 이외에도 계기비행한정증명(Instrumental Flight Rules Rating)이나 다발한정증명(Multi Engine License)과 같은 형식한정증명을 소지해야한다 .
    각각의 면허 취득은 법적 비행시간이 충족되어야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사업용 조종사, 부조종사, 운송용 조종사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기준하고 있는 규정에 따라 신체조건이 항공신체검사증명 1급이 되어야 한다. 단, 자가용 조종사는 신체검사 2급도 허용하고 있다.
    이외에도 항공영어구술능력증명시험(EPTA)에서 4등급 이상이 되어야 항공사에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군 또는 전문교육기관의 훈련과정 중에 취득하거나 기업에 취직하여 비행시간을 확보한 뒤 취득하기도 한다.

  • 직업 훈련

    군에서 조종사 경력을 쌓거나, 대학의 항공운항과를 졸업하고 비행교육원에서 소정의 교육을 받기도 한다. 한국항공대학교 비행교육원에서는 일반 4년제 대학졸업자를 대상으로, 민항공사 조종사 자원 양성을 목적으로 한 Airline Pilot Program(APP) 훈련생을 모집하고 있다. 관련 교육이수 후 민항기 부조종사로 근무할 수 있다. 교육비는 훈련생이 자비로 조달해야 한다. 선발전형은 서류심사> 적성검사/인성검사> TOEFL 실시, 영어구술, 비행적성> 신체검사, 최종면접 등의 과정을 거쳐 훈련생을 선발한다.

    또 항공사의 조종훈련생으로 선발되어 교육을 받을 수 있다. 한국항공대학교/한서대학교 울진비행교육훈련원에서는 통합사업용조종사 과정이라는 명칭으로 조종교육생을 모집하고 있다. 조종교육생 모집은 훈련사업자로 선정된 한국항공대학교와 한서대학교 부설비행교육원에서 자율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일반 4년제 대학 졸업생들에게 조종훈련생교육과정을 제공하여 민간항공 조종사를 양성하고 있다. 교육기간은 1년간이며, 교육수료 후 사업용 조종사 자격증명을 취득하여 국내 항공사 등에 취업기회를 얻게 된다.

    아시아나항공은 운항 인턴 과정 을 도입해 유능한 비행기 조종사 양성을 위한 훈련과정을 운영하여 조종사를 양성하고 있다. 조종사 지망생들에게 훈련비를 대출해 주고 입사 후 부기장이 되면 상환하는 조건이다. 아시아나항공 운항인턴에 합격하게 되면, 4년제 대학교 졸업생의 경우 38주의 운항인턴 기간을 거쳐 국제비행 자격증을 획득한다. 자격증을 획득하면 13주간 기본훈련을 받게 된다. 훈련생 대부분이 대형 제트기 운항 경험이 없기 때문에 기본훈련 기간 동안 이론교육과 CBT(Computer Based Training), 안전교육 등을 통해 전반적인 운항 기종에 대한 기본감각을 익힌다. 기본교육을 마친 뒤 23주간 초기교육을 통해 B737, B777, A320 등 여객기에 대해 전문적으로 교육을 받게 된다. 이 기간에는 시뮬레이터 탑승을 비롯해 실제 운항을 연상케 하는 모의훈련이 주를 이룬다. 이처럼 엄격하고 체계적인 74주간 교육과정을 마치고 나면 승객들의 안전을 책임지는 부기장으로써 조종간을 잡게 된다.

  • 관련 자격증

    항공기 조종사로 근무하기 위해 필요한 자격증으로는 사업용 면장과 운송용 면장이 있다. 조종사 면장은 일반적으로 군이나 민간 조종사 훈련과정 중에 취득하거나 입사 후 비행시간을 확보한 후 취득하기도 한다.
    관련 자격증으로는 사업용 조종사, 운송용 조종사, 자가용 조종사가 있다.

문의기관

한국항공협회 http://www.airtransport.or.kr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 http://www.koca.go.kr
교육부 http://www.moe.go.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