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공학분야(숙련직)

사진인화 및 현상관련조작원

평균연봉 : 3123↑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보통미만 고용평등 : 매우좋음

유사직업명

사진영상·인화원, 슬라이드 제작원, 사진처리원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방송영상과 , 사진영상학과
관련자격
사진기능사

하는일

사진인화 및 현상관련조작원은 일반인들이 맡긴 사진필름이나 신문, 잡지 광고용 사진필름을 현상하고 인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계장비를 조작한다.

화학약품을 희석하여 정착액과 현상액을 준비한다.

필름의 보관상태를 점검하고 현상액의 온도를 조절하여. 필름을 현상액에 넣고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필름을 세척하여 정착액에 담근다.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필름을 세척하여 건조하고, 현상할 사진의 크기에 따라 인화지를 선택한다.

밀착인화기 위에 필름과 인화지를 끼워 넣는다. 인화기의 광원스위치를 넣고 일정시간동안 노출시킨다.

노광된 인화지를 정착액에 담궈 상을 정착시킨다.

현상된 필름의 결함을 찾아내고 수정할 부분을 교정한다.

적성 및 흥미

사진에 대한 흥미와 재능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카메라, 현상기기 등 기계에 대한 흥미와 손재주가 요구된다.

컬러사진을 취급해야 하기 때문에 색맹이나 색약 등의 시각장애가 없어야 한다.

예술형과 탐구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독립성, 꼼꼼함, 정직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공학분야(숙련직)
표준직업분류 8922사진 인화 및 현상기 조작원
고용직업분류 8812사진 인화·현상기 조작원(사진수정 포함)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구인공고 등을 통해 사진용 화학제품 제조업체, 인쇄업체, 신문, 잡지관련 업체 등에 채용될 수 있으며 또는 직접 사진처리현상인화소를 운영할 수도 있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사진인화 및 현상관련조작원과 관련 직업인 사진인화 및 현상기조작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전망이다. 디지털카메라와 휴대폰의 성능 향상과 가격 하락으로 전통적 방식의 사진인화 및 현상관련 인력의 수요는 크게 줄어들고 있다. 흑백사진을 원하거나 패션사진 등 전문 현상과 인화가 필요한 경우 전통적인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력이 소수 존재하지만 상업적 측면에서 수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 카메라, 휴대폰 카메라 보급 확대로 사진의 현상과 인화를 온라인을 통해 주문하고 있어 디지털 시대에 부합하여 고객으로부터 원본 사진 파일을 전송받아 스캔, 보정작업(retouching), 색보정(Colour Management System, 카메라로 촬영한 결과물을 모니터로 체크하고 인쇄까지 동일한 색상을 일관성 있게 유지하는 방법) 등의 편집 작업을 통해 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과 전문가가 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은 사진사 등 기존 인력이 촬영과 함께 병행할 수도 있어 사진현상 및 인화 전문 인력은 크게 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전문가를 대상으로 인화를 하는 경우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사진인화 및 현상관련조작원과 관련 직업인 사진인화 및 현상기조작원의 임금수준은 하위(25%) 2413만원, 평균(50%) 3122.88만원, 상위(25%) 3851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사진인화 및 현상관련조작원이 되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이 요구된다.

  • 직업 훈련

    취업 후, 각 사업체의 자체 사내교육형식으로 현상 및 인화기계조작 관련한 이론과 실습교육을 받을 수 있다.

  • 관련 자격증

    관련 국가자격증으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사진기능사가 있다.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