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소비자경제분야

한복사

평균연봉 : 2746↑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보통미만 고용평등 : 매우좋음

핵심능력

손재능, 공간시각능력, 창의력

유사직업명

한복기능사, 한복제조원, 수의 제조원, 개량한복 제조원, 승복 제조원, 한복 수선원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의류ㆍ의상학과
관련자격
한복기능사, 한복산업기사

하는일

한복사는 고객의 요구에 따라 저고리, 치마, 두루마기, 마고자, 버선 등의 한복을 제작한다.

직물의 종류, 색상, 원단의 실용성, 디자인에 관하여 고객과 상의하고, 고객의 치수에 따라 재단하며 명세서에 기록한다.

재단 후 명세서에 따라 실의 색깔을 선택하고 재봉틀을 이용하거나 손바느질로 한복을 완성시킨다.

가위나 칼로 불필요한 실을 제거하고 다림질하며, 단추나 장식물들을 손바느질하여 한복을 완성시킨다.

한복의 옷감에 수를 놓거나 여러 가지 장식을 하기도 하며, 고객의 주문에 따라 한복을 수선하기도 한다.

적성 및 흥미

한복사는 예술적인 감각과 창의력이 요구되며 정교하고 꼼꼼한 손동작과 집중력이 있어야 한다.

차분하고 섬세한 성격을 가진 사람에게 유리하며 오랜 시간 앉아서 작업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인내심과 일에 대한 책임감이 있어야 한다.

예술형과 현실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꼼꼼함, 인내심, 신뢰성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소비자경제분야
표준직업분류 7221한복 제조원
고용직업분류 8631한복 제조원

관련자료

취업현황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한복사와 관련 직업인 한복제조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복은 일반적으로 평상복보다는 예복의 기능으로 결혼식이나 회갑연 등 중요한 행사에서 꾸준히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착용이 불편하고 고가여서 실용성과 대중성이 떨어진다는 인식과 한복의 고급화와 예복화가 진행되면서 한복업체가 큰 규모로 대형화되고 지역적으로 밀집화되고 있다. 서양식 복장의 유행으로 양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한복제조 기능연마에 뛰어드는 사람도 줄어드는 추세이며, 또한 규모가 작은 영세업체가 대부분이었던 한복업체들이 도태되고 있어서 한복제조원의 고용은 그리 밝지 않는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한복사와 관련 직업인 한복제조원의 임금수준은 하위(25%) 2125만원, 평균(50%) 2746.467만원, 상위(25%) 3241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한복사가 되기 위해서는 특별히 요구되는 학력은 없다. 전문대학 이상의 학교에서 전통복식과, 의상디자인과 등의 의상관련학과를 졸업하면 유리하다.

  • 직업 훈련

    사설학원이나 직업훈련기관에서 한복사가 되기 위한 교육과 훈련을 받을 수 있다.

  • 관련 자격증

    관련 국가자격증으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한복기능사, 한복산업기사가 있다.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