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과학분야(전문직)

해양수산기술자

평균연봉 : 4131↑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매우좋음 고용평등 : 보통미만

유사직업명

해양물리기술자, 해양화학기술자, 해양생물기술자, 해양지질기술자, 해양자원개발기술자, 수산기술자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해양공학과 , 해양자원학과
관련자격
어로산업기사, 어로기술사, 수산제조기사, 수산제조기술사, 수산양식기능사, 수산양식산업기사, 수산양식기사, 수산양식기술사, 식품산업기사, 어업생산관리기사

하는일

해양수산기술자는 수산자원의 관리, 증식 및 양식, 수산물의 생산과 가공 등에 관련된 연구와 기술개발업무를 담당한다.

수산업의 진흥을 위해 해양수산기술자는 해산어류의 생태를 파악하고, 해산어류의 품질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각종 양식기법 개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어획통계, 어장환경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수산정책의 기초자료가 되는 어장정보를 제공한다.

어민들에 대한 기술지도와 어업경영지도 업무를 담당한다.

적조, 적조생물, 수산물양식 등에 대한 조사를 한다.

적성 및 흥미

바다 환경을 탐사하고 관련 자료 수집을 위해 장시간 배에서 생활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강인한 체력과 인내심, 관찰력이 요구된다.

생물학, 지질학 등 자연과학 전반에 대한 지식과 바다 생명체 및 생명현상에 대한 관심이 있어야 한다.

문제해결을 위한 논리적 사고 및 분석력, 그리고 새로운 방법으로 문제해결을 시도할 수 있는 창의력이 요구된다.

사회형과 진취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독립성, 리더십, 사회성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에게 유리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과학분야(전문직)
표준직업분류 2399기타 공학 관련 기술자 및 시험원
고용직업분류 1599기타 인쇄·목재 등 공학 기술자 및 시험원

관련자료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공채나 특채를 통해 해양 및 자원개발업체 및 관련연구기관으로 진출할 수 있다.
    해양수산기술자가 포함된 기타 공학관련 기술자 및 시험원의 종사자수는 2,200명이며, 이 가운데 임금근로자는 2,200명(100%)이다.
    해양수산기술자가 포함된 기타 공학관련 기술자 및 시험원의 성비는 남자 100%이며, 평균 연령은 38.6세이다. 전체적으로 평균 15.3년의 학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평균 계속 근로연수는 10.5년이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해양수산기술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수산업을 투자?수출과 연계하여 고부가가치 식품산업으로 육성하고 양식산업의 첨단화?규모화를 통해 미래 산업화 성과를 확산할 계획이다. 또한 수산업의 근간이 되는 어촌?어항을 유통?관광이 결합된 6차 산업 공간으로 탈바꿈하고 어민복지 확대와 귀어귀촌 활성화로 어촌의 활력을 제고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양식산업의 규모화와 투자를 촉진하며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과 양식기술 간의 융복합을 통해 첨단양식 기술을 개발하고 보급할 예정이다. 김?굴 등 새로운 수출 유망 상품을 개발하고 수산 식량안보 차원에서 어업에 대해 정책 지원을 계속할 것이다. 따라서 향후 해양수산기술자의 역할을 커질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해양수산기술자는 연구·개발된 어업기술을 어업종사자에게 보급하고 어업인의 소득 증대를 지원하는 공적인 업무를 수행한다. 그래서 이들은 주로 중앙정부 및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기관에서 근무하며 이들의 일자리는 정부의 지원 정책과 인사정책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일자리가 큰 폭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참고로 어촌지도사는 비정기적이지만 매년 10명 이내로 채용되고 있다. 해양수산기술자 중 어촌지도사는 지도직공무원으로 국립수산과학원, 각 지역별 수산관리소, 어업기술센터 등에서 근무한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해양수산기술자의 임금수준은 하위(25%) 3527만원, 평균(50%) 4131만원, 상위(25%) 5019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해양수산기술자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이나 대학교의 해양 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것이 유리하다.

  • 관련 자격증

    관련 국가자격증으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수산양식기술사 및 기사, 수산양식산업기사, 수산양식기능사, 수산제조기술사 및 기사, 수산제조 산업기사, 어로기술사 및 기능사, 어병기사가 있다.

문의기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http://www.kmi.re.kr
한국해양수산연수원 http://www.seaman.or.kr/
국립수산과학원 http://www.nifs.go.kr
한국해양과학기술원 http://www.kiost.ac.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